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나주군 동강면 옥정리 봉추의 논매는소리-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교충, 박만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안교충, 박만배 |
지역개관 | 옥정리에는 봉추마을과 봉룡마을이 있다. 영산강을 경계로 무안군 몽탄면과 마주보는 오지마을로서, 마을 앞에 장골, 앞들, 타북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있다. 모두 26호가 사는 밀양박씨 일촌이다. 벼농사를 주로 하고 고추, 참깨 농사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30일에 전라남도 나주군 동강면 옥정리 봉추에서 채집한 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교충, 박민배가 참여하였다. <진소리 ; 긴소리>는 초벌, 초한벌, 만드리때 부르는데, 나주, 함평 등 전남 서남부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노래이고, 봉추마을 외에 다른 동네에서는 <마뒤여소리>, <아리씨구나>라고도 한다. |
가사 | 오날도여 여어어허
하도 심심허고 요뇨헌디 (어 그렇체 ) 허이 허허 적막한 곧에 와겼으니1) 노랫장씩이나 불러보세 아리시구나 시구여 허이 어허이야 마뒤요 나주 영산리여 어허어 허 도내기샘에 상추 씻는 저 처녀야 (어 그렇체 ) 에 허이 허허 상추를 씻걸랑은 양손 잡아 활활 씻쳐 줄거리가 되걸랑은 니가 먹고 속잎이 되걸랑은 나를 주소 아 에헤에헤 헤헤야 위 마뒤요 저 건네 허허허 갈미봉에 비가 묻어오는데 에허이허허 우장 삿갓을 허리에 두르고 논에 엎져 지심을 매세 아리 시구나 시구여 허허이야 마뒤요 불과 같이 허 허허 이허 나는 빝에 냇갓같이2) 지슨골에 (어 그렇체 ) 아허이 허허 호무라도 깔장호무 수건이라도 납작수건 니 귀잡어 볼라쓰고 논에 엎져 지심을 매세 아 에헤에헤 에헤야 위 마뒤요 전장이 넘어 갑니다그려 어허 허 전장이 넘어가네 박만배한트로 전장이 가네 에아허 허허 적막한 곳에 와겼으니 노래 한자리라도 불러보소 아리시구나 시구여 허이 어허 어허야 마뒤요 고대광실이 허허 허허 어 허허 허 (어 그렇체 ) 드높은 집이 사람은 져 후두러지고 (어 그렇체 ) 아허 히 허허야 칠팔월 우리나락은 지고개 기워 후두러 졌네 아 에헤헤 에헤야 위 마뒤요 날 오란네그려 허허 어 허허으허 날 오란네 날 오란다네 산골처녀가 날 오란다네 (오 그렇체 ) 아 허 히 허허야 양철보리밥에3) 세화젓을 몰아놓고 한자 먹기 심심타고 둘이 묵자 날 오란다네 아리시구나 시구여 허이 허허허야 마뒤요 배꽃일레 그려 허허 어 허허으허 배꽃일레 배꽃일레 처녀수건이 배꽃일레 (어 그렇체 ) 아허 히허허야 배꽃같은 저 수건안에 새별 같은 저 눈 보소 뉘 간장을 녹이랴고 저리 곱게 생겼는가 아 헤헤에헤 에헤야 위 마뒤요 1) 와겼으니 : 오셨으니의 방언. 2) 냇갓같이 : 묏간같이를 잘못 부름. 묏갓은 산. 3) 양철보리밥 → 양찰보리밥 : 양찰보리로 지은 밥, 찰기가 많아 밥맛이 좋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