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물푸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나주군 동강면 옥정리 봉추의 물푸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만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만배 |
지역개관 | 옥정리에는 봉추마을과 봉룡마을이 있다. 영산강을 경계로 무안군 몽탄면과 마주보는 오지마을로서, 마을 앞에 장골, 앞들, 타북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있다. 모두 26호가 사는 밀양박씨 일촌이다. 벼농사를 주로 하고 고추, 참깨 농사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30일에 전라남도 나주군 동강면 옥정리 봉추에서 채집한 소리물푸는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만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두레로 물을 품어올릴 때 하는 소리로 물꼬리 세는 소리라고도 한다. 두레질에는 외두레질과 쌍두레질이 있는데 녹음된 소리는 쌍두레질 할 때 부르는 것이다. 외두레질은 두 사람이 마주 서서 물을 품어올리는 것이고, 쌍두레질은 외두레 두 조가 나란히 서서 물을 품어 올리는 것을 말한다. 여러 명이 함께 호흡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외두레질 때보다 동작이 다소 느려지고 소리도 느려지며 모든 사람들이 잘 듣도록 소리가 커진다. |
가사 | (후렴) 어허이, (후렴 2) 허드레
열이로다 / 열에 하나 열에 둘에 / 열이 서니 열이 너니 / 열이 다섯 열이 여섯 / 열이 일곱 열이 야달 / 열이 아홉 (후렴 2) 사우가1) 왔구나 / 스물 하나 노리나마2) / 게란을 굽고서 검으나마 / 해우를3) 굽고서 보리밥이나마 / 많이 먹고서 스물 아훕 §2 / 오륙 졌구나4) 서른 하나 / 서른 둘에 서른 서이 / 서른 너이 / 서른 다섯 저기 가는 사람 / 코피가 나구나 서른 아홉 (후렴 2) / 오팔 사십은 마흔 하나 / 마흔 둘에 마흔 서이 / 마흔 너이 마흔 다섯 / 마흔 여섯 마흔 일곱 / 마흔 야달 마흔 아홉 (후렴 2) / 쉬흔은 반백 쉬흔 하나 ….. 1) 사우: 사위의 방언. 여기서는 사오, 즉 4×5=20을 뜻함. 2) 노리나마: 노랗기는 하지만. 3) 해우: 김. 4) 오륙졌구나: 서른이 되었구나. 5×6=30을 이르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