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물푸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나주군 노안면 학산리 용산의 물푸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유곤, 김두형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유곤, 뒤/김두형 |
지역개관 | 전라남도 나주군 노안면 학산리 용산은 마을 동쪽으로 영산강이 흐르고 서쪽으로 금정산 아래 고냇들, 웃바가니들, 이듬봄들 등의 너른 농토가 펼쳐져 있는 곳이다. 84가구가 예로부터 벼와 보리농사를 지었고, 영산강에서 생선을 잡아 생활비를 보태기도 하다가 10년전부터는 미나리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1일에 전라남도 나주군 노안면 학산리 용산에서 채집한 물푸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유곤, 김두형이 참여하였다. 두레질소리는 원래 단순하나 앞소리꾼의 사설전개 능력과 함께 뒷소리꾼의 받는 소리가 분위기를 좌우한다. 김두형씨의 뒷소리는 흥겹고 익살맞으며 변화가 많다. |
가사 | 백이로세
허으 백에 하나면 허으 하나 둘이고 허으 둘이가 서이면 허으 서이가 너이세 허이 사우가 왔으면 허이 멋하러 왔당가 허이 날과 분인께1) 허이 처가집이 허이 물품어주로서 허이 날 여기 왔다네 허이 열에 둘이면 잘되았구만 열에 서이세 허이 열에 너이면 허이 열에 다섯 허이 열에 여섯 허이 열에 일곱은 허이 열에 야달에 허이 열에 아홉 허이 이십에 가면은 허이 스물 하날세 허이 이십 둘이면 허이 스물 서이세 허이 우리 농부는 허이 물을 품고 허이 스물 여섯 허 그렇체 스물에 일곱 허 그렇체 스물에 아홉 허이 오륙은 삼십 허이 서른 하나고 타 서른 둘이면 타 서른 서이 허이 서른 너이 허이 서른 다섯 허이 서른 여섯 허이 서른에 일곱 허이 서른 야달 허이 서른 아홉 허이 마흔에 사십 허이 마흔 하나면 허 그렇체 마흔 둘일세 잘도 산다 마흔 서이면 허이 마흔 서이면 허이 마흔 너이 허이 마흔 다섯 허 그렇체 마흔 여섯 그래 마흔 일곱 허이 마흔에 야달 허이 마흔 아홉 잘 해 부러졌네 허 그렇체 백에 절반이 허이 쉬흔 둘로 허이 1) 날과 분인께 : 나와 연분(緣分)이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