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뒤요뒤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나주군 다시면 동당리 청림의 나무등짐소리-상사뒤요뒤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학봉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학봉 |
지역개관 | 청림마을은 총가구수 18호의 작은 마을이며, 탐진최씨 자작 일촌이다. 마을 동쪽과 북쪽은 청림산에 둘러싸여 있고, 마을 앞 얼마 안되는 곳에 영산강이 흐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8일에 전라남도 나주군 다시면 동당리 청림에서 채집한 상사뒤요뒤요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학봉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음력 7, 8월 논매기를 마치면 산에 올라 땔감을 베어 놓았다가 가을 추수가 지나면 묶어서 져 내린다. 나뭇짐을 지고 산에서 내려올 때 부르는 노래가 나무등짐소리이다. 7~8명이 함께 산으로 올라 일을 하는데, 선소리꾼이 소고를 두드리면 여기저기에 흩어져 일하던 사람들이 모여 나무등짐소리를 하며 산을 내려온다. |
가사 | 상사 뒤요뒤요
상사 뒤요뒤요 이내 어 허허 이 나무를 운반헐라면 우리 농군들 다 지원하제만1) 허는 수 없으리 상사 뒤요뒤요 이제 어 허허 이 잔등을 넘어스면 저 잔등이 남어있네 상사 뒤요뒤요 앞에 가는 어 허이여이 앞에 가는 선일꾼2) 잠 꽌 재겨3) 가세 상사 뒤요뒤요 다 제원하네 이혀이 다 제원하네 다 제원하네 우리농군들 다 제원하네 상사 뒤요뒤요 이 나무를 어 허이여이 이 나무 비늘을4) 텃밭에다 눌러놨다가 엄동설한에 눈 펄펄 내린디 한 무퉁우5) 빼다가 썩썩 끊커코로6) 때여보세 상사 뒤요뒤요 일락서산 허 허이여이 일락서산 해지기 전에 다믄 한 등짐이라도 더 보지란히 다녀주소 상사 뒤요뒤요 1) 지원하제만 : 지쳤지만의 방언. 2) 선일꾼 : 일꾼 중의 우두머리. 3) 재겨 : 쉬어의 방언. 4) 비늘 : 벼늘이라고도 하는데 오십 짐에서 백 짐정도의 나무 등치를 말함. 5) 한 무퉁우 : 한 모퉁이. 6) 끊커코로 : 끓게끔. 여기서는 방이 끊게끔의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