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나주군 동강면 옥정리 봉추의 메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봉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봉순 |
지역개관 | 옥정리에는 봉추마을과 봉룡마을이 있다. 영산강을 경계로 무안군 몽탄면과 마주보는 오지마을로서, 마을 앞에 장골, 앞들, 타북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있다. 모두 26호가 사는 밀양박씨 일촌이다. 벼농사를 주로 하고 고추, 참깨 농사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30일에 전라남도 나주군 동강면 옥정리 봉추에서 채집한 메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봉순이 참여하였다. 메밀 씨앗을 뿌리는 데서부터 국수를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묘사하는 노래이다. 밭을 맬 때나 무명베를 짤 때, 혹은 여럿이 보리방아를 찧다가 잠이 올 때 부르곤 했다. |
가사 | 갈채1) 갈채 갈채 너메
메물 한되 삐었드니2) 대는 대는 붉은 대요 꼿은 꼿은 흰꼿이요 열매 열매 거멍 열매 눈높은 낫가지로 어석 버석 비어다가 너룬 땅에 널었다가 도리깨로 돌개 맞차3) 덕석귀에4) 춤을 춰여 맷독에다5) 베락 쌔레 옴배기에6) 뺨을 쳐서 홍두깨로 옷을 입헤 정상두7) 드는 칼로 오송송송 썰어 냉게 팔팔끓는 가매솥에 얼름살짝 디쳐내어 지름장에 까불라서 이 방 사람 저 방 사람 메물국시 맛 잠 보소 당기 둥당애 둥당애다 1)갈채: 갈재(장성군에 있는 고개)를 이르는 듯. 2)삐었드니→뿌렸더니. 3)돌개 맞차: 도리깨로 쳐서. 4)덕석: 멍석과 비슷하나 멍석에 비해 거침. 5)맷독→맷돌. 6)옴배기: 옹기. 7)정상두→경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