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나주군 노안면 학산리 용산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두형, 김유곤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두형, 김유곤 |
지역개관 | 전라남도 나주군 노안면 학산리 용산은 마을 동쪽으로 영산강이 흐르고 서쪽으로 금정산 아래 고냇들, 웃바가니들, 이듬봄들 등의 너른 농토가 펼쳐져 있는 곳이다. 84가구가 예로부터 벼와 보리농사를 지었고, 영산강에서 생선을 잡아 생활비를 보태기도 하다가 10년전부터는 미나리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1일에 전라남도 나주군 노안면 학산리 용산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두형, 김유곤이 참여하였다. 상여를 멜 때는 <관세음보살>을 하며, 운상 중에는 <어널소리>, <너화널소리>, 산비탈을 오르면서는 <너화넘차소리>, 상여를 놓고 잠시 쉴 때는 <관아소리>를 한다. 앞소리를 두 사람이 함께 메기는 것이 특징이다. |
가사 | 간세암보살
관암보살 허이여허 서른 두명 유대군들 각기 자리로 골라를 서소 오호 보살 관암보살 허이여허 이제가면 언제 와요 오마는 날이나 일러를 주소 오호 보살 관암보살 허이여허 운상일세 운상일세 이제부터는 운상을 허소 오호 보살 관암보살 어놀 어화놀 어놀 어화놀 어너리 넘자 계원들은1) 발만 맞차서 너화놀 어놀 어화놀 잘 묘시소 잘 묘시소 돌아가신 맹인을 너화놀 어화 어화놀 오늘날로 여기서 놀면 내일날로야 너화놀 어화 어화놀 허허허이 어허허이 어허허야 어이가리 넘자 너화놀 허허허이 어허허이 어허허야 어이가리 넘자 너화놀 잘도나 허네 다 잘도 헌다 우리 계원들 너화널 허허허이 어허허이 어허허야 어이가리 넘자 너화놀 엊그저께 성튼 몸이 오늘날로야 너화널 허허허이 어허허이 어허허야 어이가리 넘자 너화놀 일가친척 다 버리고 대왕산2) 가는 길로 너화널 허허허이 어허허이 어허허야 어이가리 넘자 너화놀 허망허네 허망허네 이 세상 하직이 너화널 허허허이 어허허이 어허허야 어이가리 넘자 너화놀 잘 있거라 잘 살거라 이 몸은 극락세계 너화널 허허허이 어허허이 어허허야 어이가리 넘자 너화놀 허 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어너리 넘자 계원들은 발만 이리를 오소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인간세상 하직허고 극락세계로 나는 간다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희놀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못 가겄네 못 가겄네 노비가 적어서 못가겄네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노화놀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인정을3) 쓰소 인정을 쓰소 뱅인양반들4) 인정을 쓰소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사우사우 내 사위야 마저막 가는 길에다 인정을 쓰소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북망산천 머다더니 건너 안산이5) 북망이로 구나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이제 가면 언제 와요 오마는 날이라 일러를 주소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널 허허놀 허허놀 허허허이 너화놀 1) 계원(契員) : 상여꾼. 초상 비용을 서로 도와주기 위해 만든 상포계. 2) 대왕산 → 대왕생(大往生) : 편안하게 이 세상을 떠남. 3) 인정(人情) : 은근히 주는 돈이나 물건. 4) 뱅인양반 : 죽은 사람의 가족. 5) 안산(案山) : 집터나 묏자리의 맞은 편에 있는 산. 여기서는 마을 앞산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