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양산도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잣정의 논매고오는소리-양산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변성근, 조기진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변성근, 조기진 |
지역개관 | 분향리는 광주댐이 들어선 곳으로, 옛날부터 잣나무가 많고 마을 앞에 송강 정철이 놀았다는 식영정 이 있다고 해서 잣정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마을 앞으로 광주댐에서 흘러내리는 증암천을 끼고 분향잇들이 펼쳐져 있다. 서쪽에는 옛날 사직단이 있었던 곳이 있어서, 오늘날에도 기우제를 올린다. 창령조씨 일촌 72호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0일에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잣정에서 채집한 양산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변성근, 조기진이 참여하였다. 경기민요 <양산도>와 같은 곡이지만 창법이나 선율진행에 호남지역 음악의 느낌이 많이 배어 있다. |
가사 | 마헤 헤 헤로다 오호호에헤야
에헤기나 양산도나고나 헤 마헤 헤 헤로다 헤헤헤헤헤야 에헤기나 양산도로고나 헤 말은 가자 너굽을 친데 임은 가자고 낙루를 헌다 헤 마헤 헤 헤로다 헤헤헤헤헤야 에헤기나 양산도로고나 헤 일락은 저산1) 해 떨어지고 월출동정에 달이 솟아온다 헤 마헤 헤 헤로다 헤헤헤헤헤야 에헤기나 양산도로고나 헤 말을 타고 꽃속에 드니 말끝마당에 지가 향내만난다 헤 마헤 헤 헤로다 헤헤헤헤헤야 에헤기나 양산도로고나 헤 올동볼동 저 남산보소 우리도 죽어지면은 저기 저 모냥 된다 헤 마헤 헤 헤로다 헤헤헤헤헤야 에헤기나 양산도로고나 헤 구만저만 파양궁허고 사발광대를2) 허여를 보세 마헤 헤 헤로다 헤헤헤헤헤야 에헤기나 양산도로고나 헤 1) 일락은 저산 : 일락서산(日落西山). 2) 사발광대 : 밥을 먹자는 뜻인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