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리설레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담양군 수북면 주평리 용구동의 논매는소리-어리설레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이중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이중 |
지역개관 | 용구동마을은 영산강 상류로 흘러드는 수북천을 끼고 있는 마을로, 평풍산, 구연봉, 삼이산 등이 마을을 둘러싼 가운데 짐밭들, 고짐들 등의 너른 들이 퍼져 있다. 울창한 대나무 숲이 감싸고 있어 230여가구가 몇해 전 까지만 해도 죽물(죽세품)을 만들어 소득을 오렸으나 지금은 죽물값이 떨어져 주로 벼농사와 딸기 재배로 살아가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1일에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주평리 용구동에서 채집한 어리설레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이중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1년에 3~4회에 걸쳐 논을 매는데, 초벌 때는 호미질을 하면서 <어리실레>를 부르고, 한벌, 군벌, 만드리 때에는 손으로 매면서 긴소리인 <이리씨구나>를 부른다. 모든 논매기의 끝은 템포가 빠른 <잦은소리>로 마무리된다. 그러나 이 노래들이 꼭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어서, 초벌 때에 선소리꾼의 마음에 따라 <육자배기>, <아리씨구나>를 부르기도 하고 한벌, 군벌, 만드리 때에 <어리설레>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이 마을에서는 비교적 수월하게 손으로 김을메는 작업인 한벌, 군벌 만드리 때에는 공동노동으로 김을 매는 관행인 질지심을 했는데, 이 때는 덕석기, 영기, 꽹과리, 징, 북, 장고, 소고, 나발, 잡색 등이 수반되어 성대한 길놀이를 벌였다. |
가사 | 바람 불고서 자어하
어리실레 오동추야 자어하 어리실레 달도 밝다네 자어하 어리실레 잘도나 허네 자어하 어리실레 궂은 비 묻어오네 자어하 어리실레 우장 삿갓을 허리에 두리고 자어하 어리실레 저 건네 바람이 불어오네 자어하 어리실레 농사도 잘되네 자어하 어리실레 올 농사 잘 지어서 풍년이 되세 자어하 어리실레 구실풀피1) 자어하 어리실레 그만저만 파양궁허세 자어하 어리실레 1) 구실풀피도 : 구슬프게도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