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위여자 허허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잣정의 풀짐나르는소리-위야자 허허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변성근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변성근 |
지역개관 | 분향리는 광주댐이 들어선 곳으로, 옛날부터 잣나무가 많고 마을 앞에 송강 정철이 놀았다는 식영정 이 있다고 해서 잣정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마을 앞으로 광주댐에서 흘러내리는 증암천을 끼고 분향잇들이 펼쳐져 있다. 서쪽에는 옛날 사직단이 있었던 곳이 있어서, 오늘날에도 기우제를 올린다. 창령조씨 일촌 72호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0일에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잣정에서 채집한 위야자 허허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변성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고흥군 지역의 등짐소리인 <위야허허>와 선율과 사설이 비슷하다. |
가사 | 위야자 허허
위야자 허허 가네 가네 위야자 허허 내가 돌아를 가네 위야자 허허 위야자 허허 위야자 허허 말은 가자고 위야자 허허 너 굽을 친데 위야자 허허 위야자 허허 위야자 허허 온 디 간 디 위야자 허허 정을 붙여놓고 위야자 허허 어떤 사람을 위야자 허허 따라를 간고 위야자 허허 아서라 마라 위야자 허허 그리 그리를 마라 위야자 허허 사람 괄세 위야자 허허 그리를 말어라 위야자 허허 꽃을 껑거서 위야자 허허 머리에다 엱고 위야자 허허 산에나 올라서 위야자 허허 들귀경 간다네 위야자 허허 위야자 허허 위야자 허허 오라고 허는 데 위야자 허허 밤에나 가고 위야자 허허 동네 술집이 위야자 허허 대낮에 간다네 위야자 허허 고만 저만 위야자 허허 파양궁 허세 위야자 허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