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중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담양군 용면 추성리의 중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성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성례 |
지역개관 | 추성리는 담양읍에서 순창군 쌍치면으로 넘어가는 길목으로 용면 소재이기도 하다. 마을 북쪽의 추월산 아래로담양호가 길게 뻗어 있고, 마을 앞뒤로 경지정리가 잘 된 농경지가 펼쳐져 있다. 옛날에는 목화가 많이 나는 곳으로 유명했다. 총 65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19일에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추성리에서 채집한 중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성례가 참여하였다. 여인을 유혹하는 늙은 중과 그를 골려주는 여인의 대화가 반복된다. 두 인물의 말소리를 각기 특징적으로 내서 부르는 데 이 노래의 재미가 있다. 내숭을 떠는 듯한 여인의 앳된 목소리에 대조적으로 이어지는, 이빨 빠진 늙은 중의 새는 발음이 흉물스런 한 인물을 실감나게 그려낸다. |
가사 | 들온다 들어온다 중 하나가 들어온다
저 중을 따라 감직이도1) 송낵이2) 없어서 못 가겄네 / 찾아 오기만 찾아오소 내 송낵이 두벌인게 애기씨 한벌 나 한벌 저 중을 따라 감직이도 주평이3) 없어서 못 가겄네 / 찾아오기만 찾아오먼 내 주평이 두벌인게 애기씨 한벌 나 한벌 저 중을 따라 감직이도 바래때4) 없어서 못 가겄네 / 찾아오기만 찾아오먼 내 바라때 두벌인게 애기씨 한벌 나 한벌 저 중을 따라 감직이도 바랭이5) 없어서 못 가겄네 / 찾아오기만 찾아오먼 내 바랭이 두벌인게 애기씨 한벌 나 한벌 저 중을 따라 감직이도 장샘이6) 없어서 못 가겄네 / 찾아오기만 찾아오면 내 장샘이 두벌인게 애기씨 한벌 나 한벌 저 중을 따라 감직이도 오호백발 늙은 중이라 못 가겄네 / 나만 따라를 온다면 산채 숙채가7) 저 좋니8) 1)감직이도: 감직해도. 2)송낵→송낙: 중이 쓰는 모자. 3)주평이→지팡이. 4)바래때→바리때: 중이 쓰는 밥그릇. 5)바랭→바랑: 중이 메고 다니는 자루. 6)장샘→장삼. 7)산채 숙채(山菜 熟菜): 산나물과 익힌 나물. 8)저 좋니: 더 좋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