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글 둥글 수박사고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담양군 용면 추성리의 둥글 둥글 수박사고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319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담양군 |
생산지역 상세 | 용면 추성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6 , 둥글둥글수박사고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전라남도 , 전남 , 담양군 , 1990 , 1993 , 둥글 둥글 수박사고 , 김성례 , 독창 , |
실연자 | 김성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성례 |
지역개관 | 추성리는 담양읍에서 순창군 쌍치면으로 넘어가는 길목으로 용면 소재이기도 하다. 마을 북쪽의 추월산 아래로담양호가 길게 뻗어 있고, 마을 앞뒤로 경지정리가 잘 된 농경지가 펼쳐져 있다. 옛날에는 목화가 많이 나는 곳으로 유명했다. 총 65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19일에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추성리에서 채집한 둥글 둥글 수박사고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성례가 참여하였다. 남편의 축첩행위에 대한 아내의 항거가 심각하게 그려져 있다. 진주낭군 유형과 같은 갈등을 담고 있으나 살림살이가 곤궁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고 행복한 결말에 이르는 점이 다르다. |
가사 | 둥글둥글 수박 사고
노랑노랑 참외 사고 아차 깜박 잊었구나 한 모퉁이 돌아오다 생각허니 우리댁 서방님 좋아허신 천도복숭 잃었구나 또 다시어 돌아가서 천도복숭 삼시개를 사여 담고 집이라끈 열두대문안에 들어서니 어느 때는 변함없이 알었더니 이내 양손 떨쳐들고 손발잘히1) 돌아오니 기상의 첩을 폴을2) 걸고 남보데끼3) 등돌아가네 내가 살아 뮛을 헐꼬 한강수라 짚은 물에 소리없고 자취없이 죽을라고 결심허고 한강수라 짚은 물에 들어가니 억지로야 죽을라니 이내 내가 못 죽겄고 해나 지믄 죽을까 허고 일락서산 해지기만 해만 쳐다보고 앙겄으니 일락서산 해가 지길래 이내 치매를 무름허고4) 죽을라고 결심허여 앉았으니 우리댁 서방님 어쩌나 알으시고 외씨같은 보신발로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천둥만둥 쫓아와서 이내 폴을 흐트러 잡고 가세 가세 집이를 가세 니 귀에다5) 핑경달고6) 열두대문 붙여놓고 뭣이 서러 죽을란가 동네 첩은 임시사랑 기상의 첩은 혼탁사랑7) 자네 사랑은 등득사랑8) 뭣이 서러 죽을란가 가세 가세 어서 가 두 주먹을 흐트러 잡고 일어나쳐 어서 가자 사정하니 아니 죽고 따라와서 보닌게로 동네첩도 떨어지고 기상첩도 떨어지고 자네 부모 결단 받고 중책놓고 중날받어 상책놓고 상날받어9) 백년해로 하고 언약 맺은 우리 부부 그렇다고 죽으면은 쓸 것인가 1) 손발질히 : 손발질해. 빨리 걷기 위해 손발질을 했다는 뜻. 2) 폴을 : 팔을. 3) 남보데끼 : 남보듯이. 4) 무름허고 → 무름하고 : 무릅쓰고의 뜻. 이때의 무릅쓰다는 뒤집어서 머리에 쓰다. 5) 니 귀에다 : 네 귀에다. 6) 핑경 → 풍경(風磬). 7) 혼탁 : 홀딱 반한다는 뜻에서 붙은 말. 8) 등득 : 든든의 뜻. 9) 중책놓고~상날받어 : 책력을 보고 혼인 날을 받는다는 뜻이나 중책, 상책, 중날, 상날 각각의 의미는 분명치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