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잣정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병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병진 |
지역개관 | 분향리는 광주댐이 들어선 곳으로, 옛날부터 잣나무가 많고 마을 앞에 송강 정철이 놀았다는 식영정 이 있다고 해서 잣정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마을 앞으로 광주댐에서 흘러내리는 증암천을 끼고 분향잇들이 펼쳐져 있다. 서쪽에는 옛날 사직단이 있었던 곳이 있어서, 오늘날에도 기우제를 올린다. 창령조씨 일촌 72호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0일에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잣정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병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관암보살>은 운구소리이고 <긴어널소리>, <잦은어널소리>는 운상소리이다. |
가사 | 관암 보살
관암 보살 어허허 어허허 잘도 하세 잘도 하여 우리대매꾼들1) 모두다 한몰지게2) 다 잘도 허세 보살 관암 보살 어허허 어허허 먼디 사람들 듣기도 좋고 젙에 양반들 보기도나 좋게 하세 보살 관암 보살 어널 어널 어허화 어하널 어널 어널 어허화 어하널 말은 가자고 네 굽을 치는데 우리님 날만 잡고 낙루만 헌다 어허화 어화널 어널 어널 어허화 어하널 이팔청춘 소년들아 백발을 보고서 웃지를 마소 어허화 허화널 어널 어널 어허화 어하널 산도 설고 물도나 선데 누구를 보랴고 황천으로 간가 어허화 어화널 어널 어널 어허화 어하널 에에헤 어허허헤헤야 어허 넘자 어화널 에에헤 어허허헤헤야 어화 넘자 어화널 신작로 널루와 질 걸기 좋고 전깃불 밝아서 임 보기가 좋네 에에헤 어허허헤헤야 어화 넘자 어화널 잘도나 헌다 잘도나 허네 우리네 대매군들 모두 잘도 허네 에 -에헤 어허허헤헤야 어허 넘자 어화널 그만저만 파양궁하고 잠꽌 담배나 한 대씩 피세 에 -에헤 어허허헤헤야 어허 넘자 어화널 1) 대매꾼 : 상여꾼. 상여 메는 사람. 2) 한물지게 : 한물지기라고도 하는데 공동으로 일하는 것을 한물지기한다라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