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상동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윤석, 김창화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고윤석, 김창화 |
지역개관 | 상동마을은 냇가로 넓은 들이 펼쳐져 있는 농촌이다. 93호 가운데 광산김씨와 장흥고씨가 많다. 마을 앞에 고목이 많고 천연 기념물인 백로와 왜가리의 서식지로도 유명하다. 농요를 가지고 각종 대회에 많이 나가 노래가 아주 숙련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4일에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상동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윤석, 김창화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상여소리에는 다섯 곳이 모여 있다고 해서 <오장소리>라고 한다. 1장은 <발인소리>, 2장은 운상소리인 <관세보살소리>, 3장 역시 운상소리인 <높은소리>, 4장은 산으로 올라갈 때 부르는 <어노소리>, 5장은 하관소리인 <나무아미타불소리>이다. |
가사 | 하 허이 헤이 헤 에헤 하허이 헤헤 헤이
에헤이 에헤이 히히 간세안 보살 에헤이 에헤이 히히 간세안 보살 간세안 보살 간세안 보살 인제 헤이 헤 헤헤 인제가면 언제 올끄나 언제 올 줄 전망이 없네 보살 간세안 보살 자시던 헤이 헤 헤헤 자시던 밥상 게 덮어놓고 가신단 말씀 웬 말씀이오그려 보살 간세안 보살 일가 헤이 헤 헤헤 일가친척 다 버리고 저승길이 웬말이오 보살 간세안 보살 아이고 헤이 헤 헤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차마 서러서 내 못 가겄네그려 보살 간세안 보살 허노 허노 어허이 허어 허노이 허노 허허이 허허 어허이 허허노 어노이 어허노 떴다 보아라 종질새1) 천질 만질 구만질 떴구나 허리가자 어노 허노이 어허노 허허이 허허 어허이 허허노 어노이 어허노 오동추야 달이나 밝고 임의 생각 내 절로 난단다 허리가자 허노 허노이 허어노 허허이 허허 어허이 허허노 어노이 어허노 노다나 가세 놀다나 가 경치 좋은데 놀다나 갈끄나 허리 가자 허노 허노이 허허노 허허이 허허 어허이 허허노 어노이 어허노 저승길이 멀다해도 건네 앞산이 저승길인가 허리 가자 어노 허노이 어허노 허허이 허허 어허이 허허노 어노이 어허노 어이노 허이노 어노 어허노 가세 가세 어서를 가세 어노 어허노 하관시간 늦어간다 어노 어허노 명전공포2) 운아삼을3) 어노 어허노 양 손에다 갈라쥐고 어노 어허노 신작로 복판에 나는 간다 어노 어허노 못 가겄네 못 가겄네 어노 어허노 인정 없이는4) 내 못 가겄네 어노 어허노 여보소 벵인들5) 인정을 쓰소 어노 어허노 인정 없이는 내 못 가겄네 어노 어허노 어허노 어허노 어노 어허노 허리 굽고 늙은 장송 어노 어허노 강풍 하나를 못 이겨서 어노 어허노 우줄우줄 춤을 춘다 어노 어허노 명사십리 해당화야 어노 어허노 꽃 진다고서 서러마라 어노 어허노 맹년 춘삼월에 다시 피고 어노 어허노 우리네 인생은 한번 가면 어노 어허노 언제 올 줄 전망이 없네 어노 어허노 어노 어허노 어노 어허노 올라간다 올라를 간다 어노 어허노 1) 종질새 : 종달새. 2) 명전공포 → 명정공포(銘旌功布) : 명정은 죽은 사람의 본관, 성씨 등을 써서 관 위에 덮는 천이고 공포는 관을 닦는 삼베이다. 두 가지 모두 장대에 달아 상여 앞에 세우고 감. 3) 운아삼 → 운아삽(雲亞翣) : 발인할 때 상여 앞 뒤에 세우고 가는 널판으로 운삽에는 구름 무늬, 아삽에는 아(亞)자 무늬를 그림. 4) 인정(人情) : 일을 잘 봐달라고 은근히 건네는 물건이나 돈. 5) 벵인 → 병인 : 죽은 사람의 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