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라맥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의 나라맥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순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애 |
지역개관 | 감동마을은 병풍같은 높은 산둘기를 뒤로 하고 아늑하게 자리잡은 마을이다. 마을 앞으로는 장흥-순천간 국도를 가로질러 샛들이라 불리우는 넓은 간척지가 펼쳐져 있다. 한 때 마을 근처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굴을 채취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벼와 보리농사가 주된 소득원이고 밭작물로 약간의 콩과 고구마를 재배한다. 김해 김씨 자작일촌으로 총 52가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2일에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에서 채집한 나라맥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예가 참여하였다. 나라의 위기에 징병되어 전장에 나가서 죽음에 이르자 집에 편지를 전해 달라고 부탁하는 한 병사의 안타까운 이야기이다. 정읍이라는 지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동학농민혁명이나 의병활동과 관련이 있을 듯 한데 가창자는 이 난리가 아주 먼 옛날에 일어났던 것이라고만 알고 있다. 전남은 물론 그밖의 다른 지역에서도 듣기 어려운 귀한 노래이다. |
가사 | 가자서라 가자서라 나라맥이1) 가자서라
울아부지 지어주신 강남까찐2) 열에 닷 죽 울어머니 지어주신 세우백미3) 열에 닷 말 우리 누님 지어주는 세우버선 열에 닷 죽 우리 처재가4) 지어주는 청포도포가 열에 닷 죽 홍보에다 싸여 놓고 가자서라 가자서라 나라맥이 가자서라 사랑 문을 반만 열고 아부지 아부지 하적5) 받으시오 하적이나 하나마나 백사정 너른 질에 니 질이지 좋이 가자 모방6) 문을 반만 열고 누님 누님 하적 받으시오 사랑하는 우리 동상 백사정 너른 질에 니 질이나 좋이 가자 처재보고 하적 받으란께 자네 간 질 내 못 가께 들 가운데 정자나무 한가지가 시들거든 날 죽은지 여겨주소 대명천지 밝은 날에 불과 같이 나는 볕에 소낙비가 오기여도 내 눈물인지 여겨주소 너 찌든 옥주화를7) 나를 주고 나 쓰든 은맥이가8) 삼녹이9) 끼이거든 날 죽은 지 여겨주소 “각씨보고 잉” 올그르라 올그르라 정읍로 오른 즉슨 한 모퉁이 쩍 울리니 기왓장이 어긋나네 두 모퉁이를 쩍 울리니 온 산천이 어긋나네 세 모퉁이를 쩍 울리니 온 조선이 어긋나네 내리거라 내리거라 정읍으로 내린 즉슨 저기 가는 저 군사들 편지 한 장 전해주소 무슨 편지 전하란가 나주땅에 이갱필이 과이없이10) 되았다고 편지 한 장 전해주소 울아부지가 그 편지 받어보면 간주 설대11) 손에 들고 먼산 보고 탄식하리라소 울어머니 들어보면 시간 마래12) 뚜름스로13) 대성통곡 하리라소 우린 누님 그 편지 받어보면 사랑동동 우리동상 과이없이 되얐구나 우리 처가 들어보면 연지분도 있겄마는 누를 보고 곱게 하께14) 1)나라맥이→나라막이: 나라를 막는다, 지킨다는 뜻. 2)까찐→갖신: 가죽신. 3)세우백미(-百米): 제일 좋은 흰쌀이라는 뜻인 듯. 4)처재→처자(妻子): 처와 자식. 이 노래에서는 처만을 가리킴. 5)하적→하직(下直): 먼 길을 떠날 때 웃사람에게 작별을 아룀. 6)모방: 안방의 한 모퉁이에 붙어 있는 작은 방. 7)옥주화→옥지환(玉指環): 옥가락지. 8)은맥이→은막이(銀-): 은으로 된 막이. 막이는 칼자루와 날 사이에 가로막아 댄 쇳조각. 9)삼녹: 녹. 10)과이없이 → 가엾이. 11)간주 설대→간죽(簡竹) 설대: 간죽과 설대는 같은 말. 담뱃대의 물부리와 담배통 사이의 가느다란 대통. 12)시간 마래 → 세간(三間) 마루. 13)뚜듬스로: 두드리면서. 14)곱게 하께: 곱게 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