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촌성님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의 사촌성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주원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주원님 |
지역개관 | 감동마을은 병풍같은 높은 산둘기를 뒤로 하고 아늑하게 자리잡은 마을이다. 마을 앞으로는 장흥-순천간 국도를 가로질러 샛들이라 불리우는 넓은 간척지가 펼쳐져 있다. 한 때 마을 근처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굴을 채취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벼와 보리농사가 주된 소득원이고 밭작물로 약간의 콩과 고구마를 재배한다. 김해 김씨 자작일촌으로 총 52가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2일에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에서 채집한 사촌성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주원님이 참여하였다. 잘 사는 사촌형님에게 설움 받는 이야기이다. 뒷 부분에서는 관계가 역전되는 내용을 아이러니의 수법으로 전개했는데 이것이 소망형인지 아니면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가창자는 화자가 못 살다가 나중에 아주 잘 살게 되어서 하는 소리로 알고 있다. |
가사 | 성님성님 사촌성님
나 왔다고도 괘념을 말소 쌀 한되만 제겼으면 성네도 묵고 나도나 묵고 구정물이 나갔으면 성 소 주제 내 소 준가 밥태기가 나갔으면 성 개 주제 내 개 준가 조리무시1) 나갔으면 성 개 주제 내 개 준가 성네집은 잘 산골로2) 동애를3) 틀어 울띠4) 띠고 요내나는 못 산골로 물멩지로 울띠 매고 성네집은 잘 산골로 누룩으로5) 단장 싸네 요내집은 못 산골로 놋접시로 단장 싸고 성네집은 잘 산대서 니 귀에다 핑갱 달고6) 요내집은 못 산대서 니 귀에다 인갱 달믄7) 동남풍이 들여 불면 인갱소리 더욱 좋데 1) 조리무시 : 조리에 박힌 쌀. 2) 잘 산골로 : 잘 사니까. 3) 동애 → 동아(줄). 4) 울띠 : 울타리. 5) 누룩 : 누룩덩이 같이 생긴 흙덩이를 이르는 누룩두레를 줄인 말인 듯. 6) 핑갱 → 풍경 : 처마 끝에 다는 경쇠. 7) 인갱 → 인경 : 통행금지를 알리기 위해 밤마다 치던 큰 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