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서당앞에 비자나무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의 서당앞에 비자나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32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보성군 |
생산지역 상세 | 조성면 덕산리 감동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서당앞에비자나무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전라남도 , 전남 , 보성군 , 1990 , 1993 , 서당앞에 비자나무 , 주원님 , 독창 , |
실연자 | 주원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주원님 |
지역개관 | 감동마을은 병풍같은 높은 산둘기를 뒤로 하고 아늑하게 자리잡은 마을이다. 마을 앞으로는 장흥-순천간 국도를 가로질러 샛들이라 불리우는 넓은 간척지가 펼쳐져 있다. 한 때 마을 근처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굴을 채취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벼와 보리농사가 주된 소득원이고 밭작물로 약간의 콩과 고구마를 재배한다. 김해 김씨 자작일촌으로 총 52가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2일에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에서 채집한 서당앞에 비자나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주원님이 참여하였다. 같은 통사구조를 지닌 행이 병렬적으로 이어져서 한 편을 구성한다. 단순한 열거인 듯 하지만 마지막 행에 오면 그 앞까지의 사설들이 마지막 행을 위한 복선이 되는 묘미가 있다. 여기서 동서는 한마을에서 시집살이하는 사람들의 통칭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
가사 | 서당 앞에 비자나무는
서당 선배 져워서1) 후었다소2) 시내 갱변 버들나무는 물에 져워 후었다소 들 가운데 당산나무는 농군에 져워서 후었다소 칠팔월에 나락 모개는3) 익에4) 져워 후었다소 동지섣달5) 다래나무는 다래 져워 후었다소 동지섣달 왕대잎은 눈에 져워 후었다소 우리같은 동서들은 잠에 취해 휘었다소 1) 져워서 → 겨워서 : 배겨 내기 어려워서. 2) 후었다소 → 휘었다소. 3) 모개 : 곡식의 이삭이 달린 부분. 4) 익 : 나락 열매. 5) 동지섣달 : 구시월에 라고 불러야 할 것을 착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