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강 아강 우지 마라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의 아강 아강 우지 마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32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보성군 |
생산지역 상세 | 조성면 덕산리 감동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아강아강우지마라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전라남도 , 전남 , 보성군 , 1990 , 1993 , 아강 아강 우지 마라 , 주원님 , 독창 , |
실연자 | 주원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주원님 |
지역개관 | 감동마을은 병풍같은 높은 산둘기를 뒤로 하고 아늑하게 자리잡은 마을이다. 마을 앞으로는 장흥-순천간 국도를 가로질러 샛들이라 불리우는 넓은 간척지가 펼쳐져 있다. 한 때 마을 근처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굴을 채취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벼와 보리농사가 주된 소득원이고 밭작물로 약간의 콩과 고구마를 재배한다. 김해 김씨 자작일촌으로 총 52가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2일에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덕산리 감동에서 채집한 아강 아강 우지 마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주원님이 참여하였다. 엄마는 죽고 어린 동생은 젖이 고파 울고…. 누이나 언니의 난감하고 착잡한 심정을 담은 노래이다. 서두만 들으면 아기 재우는 노래같지만 자장가의 기능을 지닌 것은 아니고 작중의 절박한 상황과 정서 자체가 전승의 핵심이다. |
가사 | 아강아강 우지마라
느그 어머니 오마더라 언제때나 오마든가 병풍 안에 기린 장닭 자른 목을 길게 빼고 꾀꾀하면 오마더라 그리해도 아니 오네 삼년 묵은 고목나무 잎 피거든 오마더라 그리해도 아니 오네 군밤 시개 삶은 밤 시개 방 웃못에 숨거노면 새순 트면 오마더라 그리해도 아니 오네 저 건네라 잔솔밭에 가는 청년 저승질로 가거들랑 우리 어마니 만나거든 우리 애기 젖일라끈 벽병에다1) 담어갖고 솔잎으로 모개2) 질러 잔솔밭으로 보내주라소 1) 백병 : 끈이 달린 작고 흰 사기병으로 술이나 머릿기름 등을 담음. 2) 모개 : 마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