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아지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승주군 주암면 갈마리 동촌의 논매는소리-산아지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관승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홍관승 |
지역개관 | 동촌마을은 지리적으로 군(郡)의 동쪽에 있다하여 붙혀진 이름이다. 약 480년전에 광산 김씨 3형제(永河, 永秀, 永泰)가 수해(水害)를 피해 이곳에 정착, 마을을 형성하여 한때 주암면에서 가장 부유한 마을을 이루기도 했다고 한다. 특산물로 딸기와 한약재인 방풍이를 생산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5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주암면 갈마리 동촌에서 채집한 산아지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관승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호미질, 중벌, 만드리 세 차례 논을 맸다. 일명 <에야뒤야>로 일컫는 이 노래는 논을 맬 때마다 부르나 그 중에서도 가장 일이 힘든 호미질을 할 때 많이 부른다. |
가사 | 에야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저건네 갈대봉에 비 묻어온데 허리에다 우장을 걸케나1) 매세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잘도나 허네 잘도나 허네 우리 호미군들 잘도나 허네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바쁩니다 ”) 에야디야에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돌아가네 돌아가네 보머리2) 가네 호미를 찍고서 보머리 가네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매세 매여 호미를 씻고 정전에3) 툭수발4) 술이 나를 기다리네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꼿감 맛이 지가 좋아도 특수바리 막걸리가 제일 좋네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에야디야헤 나허허허야 어야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에야 디야 나허허허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1) 걸케나 → 걸쳐나. 2) 보머리 : 논 따위의 끝부분. 3) 정전(亭前) : 정자 앞. 4) 툭수발 : 뚝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