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더리덜렁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줄다리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의 줄메고다니는소리-더리덜렁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323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순천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승주군)월등면 송천리 송산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줄메고다니는소리 , 더리덜렁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줄다리기 , 전라남도 , 전남 , 순천시 , 1990 , 1993 , 더리덜렁 , 정태수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정태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태수 |
지역개관 | 송산마을은 계곡이 수려하고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나, 송(松)자의 어원은 작다는 뜻의 솔다에서 나온 것으로, 송천은 솔내 즉 작은 냇물이 흐르는 마을이라는 뜻이 된다고 지명연구가들은 말한다. 이 마을은 또 조선 경종대에 영광정씨, 김해김씨, 성주배씨 등이 화전을 경작하고 바릿대를 만들면서 살았다 하여 박점마을이라고도 했고 중촌(中村)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대보름 달집태우기로 유명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3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에서 채집한 더리덜렁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태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사람들은 매년 정월 대보름이면 새벽에 당산제를 지내고, 낮에 당산나무를 감았던 줄을 걷어 동편과 서편으로 나눠 줄다리기를 한다. 저녁에 달이 뜨면 논바닥 가운데 둥그렇게 대나무를 엮어 세운 달집을 태우는데, 달집이 쓰러진 넘어간 쪽이 이기면 그 해 풍년이 온다고 믿었다. 밤에는 마을 청년들이 줄을 메고 마을을 돌며 노래를 부르며 놀곤 했는데, 이 때 부르던 노래가 <더리덜렁>이다. |
가사 | 허헐싸 더리덜렁
허헐싸 더리덜렁 정월이라 대보름날 허헐싸 더리덜렁 달집놀이가 좋을씨고 허헐싸 더리덜렁 우리 동네 모든 재앙 허헐싸 더리덜렁 달집에다가 태와보세 허헐싸 더리덜렁 달집을 곱게 세워야만 허헐싸 더리덜렁 둥근 달이 좋게 뜨고 허헐싸 더리덜렁 둥근 달이 좋게 뜨면 허헐싸 더리덜렁 금년에 비가 많이 오네 허헐싸 더리덜렁 달집이 타서 넘어간 쪽은 허헐싸 더리덜렁 풍년이 든다더라 허헐싸 더리덜렁 하늘에는 별이 총총 허헐싸 더리덜렁 대밭에는 매두가1) 총총 허헐싸 더리덜렁 솔밭에는 굉이가2) 총총 허헐싸 더리덜렁 짱짱 맞어라 엿 사주께 허헐싸 더리덜렁 엿 먹다가 이 빠지면 허헐싸 더리덜렁 미국방에3) 가 고쳐주마 허헐싸 더리덜렁 어헐싸 더리덜렁 허헐싸 더리덜렁 보름날은 걸기도 하다 허헐싸 더리덜렁 보리밥 먹고 찰밥 먹고 허헐싸 더리덜렁 취나물 먹고 꿩알 줍고 허헐싸 더리덜렁 꾸정물통에 호박씨 뜨고 허헐싸 더리덜렁 둥근 달은 동산에 뜨고 허헐싸 더리덜렁 우리 동네 초군 목수 허헐싸 더리덜렁 덩실덩실 잘도 논다 허헐싸 더리덜렁 줄끈놀이4) 달집놀이 허헐싸 더리덜렁 보름잔치가 이 아닌가 허헐싸 더리덜렁 동편 서편 편을 가리면 허헐싸 더리덜렁 줄끈놀이도 헐 것이네 허헐싸 더리덜렁 요리저리 골라서서 허헐싸 더리덜렁 줄을 한 번 끄나보세 허헐싸 더리덜렁 1) 매두 → 마디. 2) 굉이 → 공이. 3) 미국방 : 어떤 장소를 뜻하는 듯 하나 자세히 알 수 없음. 4) 줄끈놀이 : 줄끄는 놀이, 즉 줄다리기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