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줌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승주군 해룡면 선월리의 줌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지쌀금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지쌀금 |
지역개관 | 배달마을은 광양만에서 약 2㎞ 떨어진 곳에 위치한 중산간 마을이다. 옛날에 마을 앞까지 배가 드나들었다든가, 또는 마을형국이 배가 들어오는 반월형모양으로 생겼다하여 배들이, 베다리(舟橋), 밧들 등으로 불렀다고 하나, 이런 이름들은 순수한 우리말로 너른들을 뜻하고 주교(舟橋)나 선월(船月) 같은 명칭은 이를 한자말로 바꾼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명 연구가들은 말한다. 85호가 거주하며 주소득원은 농업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4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해룡면 선월리에서 채집한 줌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지쌀금이 참여하였다. 처녀들의 바느질 솜씨를 가늠할 수 있는 일의 하나가 줌치 만들기였다. 노랫말에는 희망에 부푼 처녀들의 심정이 나타나 있다. |
가사 | 해는 따서 줌치1) 줏고2)
달은 따서 안을 박고 쌍무지개 선을 둘러 새별같이 끈을 달아 대문 밖에 걸어놓고 올라가는 군사들아 내려가는 군사들아 오만 귀경 다 못해도 줌치 귀경 허고 가소 줌칠라끈3) 좋네마는 누랑 누랑 주섰단가 아지매 딸4) 봉상김이 세생의5) 딸 야든김이 둘이 둘이 주섰다네 1) 줌치 : 주머니. 2) 줏고 : 깁고 꿰매고. 3) 줌칠라끈 : 줌칠랑은. 4) 아지매 딸 : 아전의 딸이 와전된 듯. 5) 세생 → 서생(書生) : 유학을 닦는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