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의 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태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태수 |
지역개관 | 송산마을은 계곡이 수려하고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나, 송(松)자의 어원은 작다는 뜻의 솔다에서 나온 것으로, 송천은 솔내 즉 작은 냇물이 흐르는 마을이라는 뜻이 된다고 지명연구가들은 말한다. 이 마을은 또 조선 경종대에 영광정씨, 김해김씨, 성주배씨 등이 화전을 경작하고 바릿대를 만들면서 살았다 하여 박점마을이라고도 했고 중촌(中村)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대보름 달집태우기로 유명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3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에서 채집한 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태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태어난 것 자체를 원망하는 데서 서글픔의 깊이를 가늠할 수 있다. 사설 앞 부분은 피륙을 짠다는 뜻의 낳다라는 말이 있는 데서 나온 것이다. |
가사 | 울 어메는 날 키울 때
금만남만1) 예우드만2) 어매어매 날 날라 말고 칠월삼베나 한 필 더 났으면 몽당치매를 못 미들 걸3) 한 살 두 살 묵을 때는 넘 안줄 듯이 허더마는 열에 다섯이 묵어논께 넘 주자고 공사허네 못 살겄네 못 살겄네 열에 다섯 만낸 가장 백년 원수를 만내갖고 날 베려라 날 베려라 대쪽같이 곧은 길에 살대4) 쏘듯 나 나감세 1) 금만남만 : 가창자는 금덩어리같이라는 뜻이라고 하나 정확한 뜻은 알 수 없음. 2) 예우드만 : 예우다는 여의다 즉, 혼인시킨다는 뜻이나 여기서는 키우드만이라고 할 것을 잘못 부름. 3) 못 미들 걸 : 안 입을 걸이라는 의미이나, 단어 자체의 정확한 뜻은 모름. 4) 살대 : 화살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