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태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태수 |
지역개관 | 송산마을은 계곡이 수려하고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나, 송(松)자의 어원은 작다는 뜻의 솔다에서 나온 것으로, 송천은 솔내 즉 작은 냇물이 흐르는 마을이라는 뜻이 된다고 지명연구가들은 말한다. 이 마을은 또 조선 경종대에 영광정씨, 김해김씨, 성주배씨 등이 화전을 경작하고 바릿대를 만들면서 살았다 하여 박점마을이라고도 했고 중촌(中村)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대보름 달집태우기로 유명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3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태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상여소리에는 관을 들고 나가면서 부르는 <긴소리>, 운상소리인 <어널소리>, 산비탈을 올라갈 때 부르는 <나무아미타불소리>가 있다. 여기서는 운상소리인 <어널소리>만 실었다. 젊은 사람들이 뒷소리를 맡아 소리가 우렁차다. |
가사 | 허널 허어널 어이가리 넘차 너화여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북망 산천이 머다더니 건너 안산이 북망일세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황천수가 멀다고 허드니 앞냇물이 황천수로다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공수래 공수건가 세상사가 부운일세1)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나고 죽고 죽고 낳고 생사간에 무슨 죈가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어허널 어허널 어이가리 넘차 너화여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낙양성2) 십리허에3) 높고 얖은 저 무덤은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영웅호걸이 몇몇이면 절세미인도 몇몇인가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우리나 인생 아차하면 저기 저 모양 된다드라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노든 달아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초가삼간를4) 지어놓고 천년만년을 살자드니 어넘 어허넘 어리라리 넘차 너화여 한백년을 다 못 살고 어하넘차 1) 부운(浮雲) : 뜬 구름. 2) 낙양성 : 중국의 하남성 북쪽에 있는 옛 도읍지. 3) 십리허(十里許)에 : 십리쯤 되는 곳에. 4) 초가삼가 → 초가삼간(草家三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