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태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태수 |
지역개관 | 송산마을은 계곡이 수려하고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나, 송(松)자의 어원은 작다는 뜻의 솔다에서 나온 것으로, 송천은 솔내 즉 작은 냇물이 흐르는 마을이라는 뜻이 된다고 지명연구가들은 말한다. 이 마을은 또 조선 경종대에 영광정씨, 김해김씨, 성주배씨 등이 화전을 경작하고 바릿대를 만들면서 살았다 하여 박점마을이라고도 했고 중촌(中村)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대보름 달집태우기로 유명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3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월등면 송천리 송산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태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무덤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무덤을 다지는 달구소리는 전남지방에는 흔치 않다. |
가사 | 오헤이 다궈
오헤이 다궈 눈이 오면 추울세라 깊이깊이 묻어주소 오헤이 다궈 비가 오면 물들세라 따둑따둑 밟아주소 오헤이 다궈 산도 설고 물도 설은 청산리가 웬일인가 오헤이 다궈 모든 가심1) 품었든 한이 이제로서 끝이 났네 오헤이 다궈 심야삼경 깊은 밤에 두견소리 처량쿠나 오헤이 다궈 간다고 아주 가냐 아주 간들 잊일소냐 오헤이 다궈 꽃이 피고 잎이 피면 날 본 듯이 보아다오 오헤이 다궈 다궈소리도 끝이 나면 분묘 짓는 것도 끝이 나네 오헤이 다궈 1) 가심 : 가슴의 방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