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언디소리, 절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의 모찌는소리-무언디소리-절래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석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석심 |
지역개관 | 오음리는 행기산을 중심으로 주위에 북강 안면 오음 등 5개 마을이 모여있다고 해서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20여년 전 메운 간척지에서 벼농사를 주로 하며, 바다와 가까운 마을 서쪽 뒷벌에는 염전이 있다. 총 80호.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8월 30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에서 채집한 절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석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모를 찔 때 처음에는 늦은소리인 <먼뒤요>를 부르다 모를 거의 다 쪘을 무렵부터 중간, 잦은소리인 <무언디요>, <절레소리>를 차례로 부른다. 여기서는 <무언디요>, <절레소리>를 실었다. |
가사 | <무언디소리>
헤헤헤 여라 무언디요 헤헤헤 여라 무언디요 달아 달아 밝은 달아 허공 중천에 높이 뜬 달 헤헤헤 여라 무언디요 저 달이 떠서 우연히 밝아 장부 간장을 다 녹인다 헤헤헤 여라 무언디요 <절레소리> 어여라 절레 어여라 절레 절레소리는 어디를 갔다가 어여라 절레 때만 찾아서 돌아를 오는데 어여라 절레 인생의 시절이 한 번 가면은 어여라 절레 앞도나 절벽 뒷도나 절벽 어여라 절레 움도 싹도나 아니를 난구나 어여라 절레 만경창파 푸른 물에 어여라 절레 둥싱둥실 비친 저 달 어여라 절레 만 인간이 집어낼 것 어여라 절레 집어낼 것도 같건마는 어여라 절레 좁고나 얕은 요내야 가슴에 어여라 절레 멎고1) 맺히난 이내 한을 어여라 절레 어느야 장부가 집어를 낼꺼나 어여라 절레 어기여라 절래로구나 어여라 절레 1) 멎고 → 맺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