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허뒤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상암의 모심는소리-사허뒤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효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효엽 |
지역개관 | 선왕산(仙王山)의 끝자락인 마을 뒤의 바위가 상서로운 거북이와 돼지형상을 닮았다고 하여 상암(祥岩)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신안지역에서도 특이한 민속과 노래를 간직한 마을로,특히 초상집에서 남사당 패가 상가(喪家)와 죽은 이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밤을 새우면서 놀이를 벌이던 풍습이 그러하다. 주산물은 보리이며, 농사에 따른 노래들도 많이 남아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0월 24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상암에서 채집한 사허뒤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효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의 모심는 소리에는 <긴상사소리>와 <잦은상사소리>가 있는데, 여기에는 <잦은상사소리>만 실었다. |
가사 |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못하겄네 못하나 겄네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차마 서러 못하겄네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니 귀 빤딱1) 이 말배미를2)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언방없이3) 심어주소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이 농사를 이리 지어놔도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우리 님은 어리를 가고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농사 걷으로 오지 않고 있는가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다 잘하요 다 잘하요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우리야 농군들 다 잘하요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아허어 허루 사허뒤야 1) 니 귀 빤딱 : 네 귀 반 듯. 2) 말배미 : 한 말이 수확되는 논배미. 3) 언방 : 빠진 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