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석심, 정남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정석심, 나/정남임 외 |
지역개관 | 오음리는 행기산을 중심으로 주위에 북강 안면 오음 등 5개 마을이 모여있다고 해서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20여년 전 메운 간척지에서 벼농사를 주로 하며, 바다와 가까운 마을 서쪽 뒷벌에는 염전이 있다. 총 80호.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8월 30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석심, 정남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논매는 소리의 가창방식은 메기고 받는 식(선후창)이지만, 받는 소리가 고정되너 후렴귀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앞소리와 연관되거나 완전히 독립도니 가사로 부른다. 받는 소리의 선율도 나오는 노랫말에 따라서는 완전히 달라지기도 한다. 논매는 도중 쉬고 싶을 때에는 허리를 펴고 일어서서 외치는 소리를 한다. 앞소리의 음계나 선율진행은 공수리 마초마을과 거의 같으나 훨씬 느리다. |
가사 | 가 : 오동초야 헤헤헤에 달은 발고
임의 생각이 절로만 난다 나 : 오동추야 달은 발고 임의 생각이 절로 난다야 임의 생각 절로만난다 가 : 건너가세 허허어어 건너가세 저 어덕1) 밑으로 건너를 가자 나 : 건너가자 건너가자 저 건너로 건너가자야 저 건네로 건너를 가자 가 : 어덕 밑으로 허허어어 설설 기어 보리타리로2) 건너를 가세 나 : 세월아 펄펄 가지를 마라 장안호걸이 다 늙어진다야 장안호걸 다 늙어진다 가 : 개 사가게 허허어어 개 사가게 돈 닷돈에 개 사를 가게 나 : 개 사가게 개 사가게 돈 닷돈에 개 사를 가러라 돈 닷돈에 개 사를 가러라 가 : 달아 달아 허허어어 밝은 달아 임의야 사창에3) 비치는 달아 나 : 강남제비 박씨를 물고 홍보 지붕 높이 떴다야 홍보 지붕 높이 떴다 가 : 어떤 부량자4) 허허어어 품었더냐 보는 대로만 일러를 다고 나 : 언떡뻔떡 은비녀 꼭지 단장5) 너메서 날 속에낸고나 단장 너메서 날 속여낸다 가 : 날 오라네 허허어어 날 오라네 산골 처녀가 날 오란다네 나 : 해는 일락서산에 특 떨어지고 한 목장6) 돌아선다 돈자 후루루룩 뭉개뭉개 솟아를 온다 . 오동추여 어허허 어허야 오동추야 달은 밝고 임의 생각이 절로난다 에에헤야 얼싸좋다 널널이고나 자네 어째 못 왔던가 1) 어덕 : 논의 양쪽 가장자리 중 높은 곳. 2) 보리타리 : 논의 양쪽 가장자리 중 낮은 곳. 3) 사창(紗窓) : 비단으로 바른 창. 4) 부량자 → 부랑자(浮浪者). 5) 단장(短墻) : 나지막한 담. 6) 한 목장: 한 모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