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여 화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비금면 용소리의 보리타작소리-어여 화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문넙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문넙진 |
지역개관 | 용소(龍沼)라는 지명은 마을앞 깊은 못에 용이 살았다하여 생겨난 이름이라 한다. 200여호의 큰 마을로, 옛부터 정월대보름에 잡귀를 몰아내고 한 해의 운수를 점치기 위하여 이웃 마을과 횃불싸움을 하는 풍속이 전해오고 있다. 주산물은 쌀과 보리이고, 특작물로 마늘과 땅콩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0월 27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용소리에서 채집한 어여 화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문넙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보리타작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도리깨질소리는 아주 단순한 노래인데도 뒷소리가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달라지는 것이 흥미롭다. |
가사 | 어여 화야
어여 화야 늘보리냐 찰보리냐 어여 화야 어화 마당에 보리나 치세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이 마당에 보리를 쳐서 어여 화야 우리 십여명 식구에다 어여 화야 묵고 살고 천년 만년 어여 화야 천년을 살까 만년을 살까 어여 화야 천년 만년 살고지가 어여 화야 어떤 사람 팔자가 좋아 어여 화야 고대광실 높은 집에 어여 화야 부귀영화로 다 잘 산데 어여 화야 우리는 언제 언제 어여 화야 부귀영화로 잘 살아볼까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어서 어서 보리를 쳐서 어여 화야 첫차에는 나라 봉영 어여 화야 두차에는 부모 공경 어여 화야 세차에는 처자식을 어여 화야 공경 공경 공경하세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어화 마당에 보리나 치세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어여 화야 늘보린가 쌀보린가 어여 화야 어서 어서 보리를 쳐서 어여 화야 팔매 마당에1) 부쳐보세 어여 화야 어여 화야 어여 화야 1) 팔매 마당 → 판매 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