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올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기타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의 배올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명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명후 |
지역개관 | 흑산도에서 뱃길로 5시간이나 가야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 섬이다. 중국과 가까워 예전부터 폭풍이 칠 때는 중국어선들이 자주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가거도에는 대리, 대풍리, 항리 세 마을이 있는데, 170여 가구가 사는 대리가 가장 크다. 사람이 가히 살만한 섬이라는 가거도(可居島)는 기암괴석과 후박나무 숲으로 섬전체가 덮혀 있는 아름다운 섬이지만, 농토라고는 밭 조금밖에 없어 주로 바닷일과 약초캐기로 살아간다. <멸치잡이 소리>가 유명해 1988년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된 바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7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에서 채집한 배올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명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태풍이 불 때 배를 뭍으로 옮기면서 하는 소리이다. 20여명의 젊은 사람들이 땅바닥에 드러누워 발을 배 옆면에 대어 배를 들어 올리고, 나머지 7, 80명의 사람들은 줄을 당겨 배를 끌어 올린다. 앞소리를 메길 때는 힘 쓸 준비를 하고, 뒷소리를 하면서 힘을 쓴다. 처음과 마지막 부분의 메기는 소리인 “어기여 애오”는 평지에서 배를 옮길 때 부르고, 중간부분의 메기는 소리인 “이오찬이다”는 경사진 곳을 촘촘히 올라갈 때 부르는 소리이다. 근래에 세상에 소개되면서 배밭 올리는 소리라고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
가사 | 어기여 애오
자 들여라 자 어기여 애오 자 들여라 자 한판대목 잔1) 시게들 지게 애오 자 들여라 자 어기여 애오 자 들여라 자 이오의찬이다2) 자 들여라 자 어기디어 의찬이다 이오차 어기디어 의찬이다 이오차 줄들 잔3) 시게 당그게 의찬이다 이오차 어가 동심이여4) 의찬이다 이오차 한판대목을 시게 지게 의찬이다 이오차 어가디여의 동심이야 이오차 어기여 애오 자 ! 힘차게 당겨 ! 자 ! 자 ! 자 !자 ! 어기여 애오 자 ! 자 ! 자 !자 ! 으야 ! 으야 ! 으야 ! 자 ! 자 ! 자 !자 ! 1) 한판 대목 잔 : 한판은 배의 뒤. 인체로는 엉덩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배를 올릴 때 가장 힘든 무거운 곳임. 대목은 부분의 뜻. 잔은 좀의 방언. 2) 의찬이다 : 힘을 내는 뜻없는 말. 3) 줄든 잔 : 줄들 좀. 4) 동심(同心)이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