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미역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해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상암의 미역따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정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정님 |
지역개관 | 선왕산(仙王山)의 끝자락인 마을 뒤의 바위가 상서로운 거북이와 돼지형상을 닮았다고 하여 상암(祥岩)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신안지역에서도 특이한 민속과 노래를 간직한 마을로,특히 초상집에서 남사당 패가 상가(喪家)와 죽은 이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밤을 새우면서 놀이를 벌이던 풍습이 그러하다. 주산물은 보리이며, 농사에 따른 노래들도 많이 남아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0월 24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상암에서 채집한 미역따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정님이 참여하였다. 미역을 따서 배에 실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미역을 싣고 노를 저어 갈 때 부르는 제주도식 <노젓는 소리>가 뒤에 덧붙여졌다. 윤정님할머니가 흑산도에 살 때 부르던 노래이다. |
가사 | 받어라 연에 연봉1)
허야 받어라 받기만 잘하면 어야 받어라 허루만 난다2) 어야 받어라 어기야 받어라 이 미역을 어야 받어라 다도나 캐여 어야 받어라 어기야 받어라 받기만 잘하면 어야 받어라 비기는 잘 한다 어야 받어라 인자는 배가 어야 받어라 다 캐 간구나 어야 받어라 어기야 받아라 어야 받어라 (“인자 그래갖고는 인자 오제 . 인자 한 배를 싣고 미역을 한 배 싣고 ”) 익싸 익싸 곤방아야3) 저어라 그리야 어허 젓자 그래야 허 어서 가자 우리야 고향을 허 어서나 가서 허 이 미역을 전이 풉서4) 나눠서 너자 허 어야 받아라 허 익사 당닥궁 허 젓자 그래야 허 한 바탕만 올려 놓먼 허 고향재미를5) 어허 다도나 간다 앞은 점점 가까워지고 뒷은 점점 멀어진다 하하 젓자 그리야 어여 보거라 어쩌 (“이자 다 젓었네 ”) 1) 연에 연봉 : 연에 연방, 잇달아. 2) 허루만난다 : (뜻 모름). 3) 곤방아야 : (뜻 모름). 4) 전히 풉서 : 모두 퍼서. 5) 고향재미 : 고향이 있는 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