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상암의 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정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정님 |
지역개관 | 선왕산(仙王山)의 끝자락인 마을 뒤의 바위가 상서로운 거북이와 돼지형상을 닮았다고 하여 상암(祥岩)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신안지역에서도 특이한 민속과 노래를 간직한 마을로,특히 초상집에서 남사당 패가 상가(喪家)와 죽은 이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밤을 새우면서 놀이를 벌이던 풍습이 그러하다. 주산물은 보리이며, 농사에 따른 노래들도 많이 남아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0월 24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상암에서 채집한 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정님이 참여하였다. 이른바 딸타령이 모두 그렇듯이 윤정님할머니의 딸타령도 정이 넘친다. 남편이 하도 딸을 구박해 불상한 딸을 안고 불렀다는 노래이다. |
가사 | 자장 자장 자장 자장
자장 자장 오래 잔다 우리 애기는 잘도 잔다 우리 애기는 잘도 잔다 하늘에서 떨어졌냐 땅에서 불끈 솟았냐 어디를 갔다가 인제 와 만경 갔다 이제 왔느냐 이제 와도 늦잖하다 둥둥둥둥 두둥둥둥둥 내 딸이야 어사 둥둥 내 딸이야 하늘에서 떨어졌냐 땅에서 불끈 솟았냐 어디를 갔다가 인제 와 물때가 사나서1) 이제 오냐 이제 와도 늦잖하다 둥둥 둥둥둥 두둥둥둥 내 딸이야 어사 사우를 할거나2) 춘향이 사우를 할거나 두둥둥 둥둥둥 둥두둥 두둥두둥 둥둥 둥둥에 내 딸이야 1)물때가 사나서: 바닷물이 들고 나는 시기가 안맞아서. 2)어사 사우를 할거나: 어사 사위를 얻을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