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당애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임자면 조삼리의 둥당애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금주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금주 외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조삼리는 마을을 둘러싼 앞산, 뒷산, 아씨산 세봉우리의 형국이 새와 같다 하여 조삼(鳥三)으로 불리고 있는 이 마을은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언나골, 재너머 등지에서 벼, 보리농사를 주로한다. 31가구.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1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조삼리에서 채집한 둥당애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금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둥당애타령>은 보통 메기고 받는 방식으로 부르냐 아는 노랫말이 나오면 모두 같이 제창하기도 한다. |
가사 | 저 건네라 메메밭이1)
메메 따는 저 처녀야 느그 어메 어디 가고 느그 성제 메메 따냐 글 안해도 슬픈 디다 울어메 말을 하고 가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저 건네 물꼬에 동백나무 저 건네 물꼬에 동백나무 울어메가 심겠는가 울아베가 심겠는가 눈이 오나 비가 오나 항상 봐도 그 색일레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질로 질로 걸어가다 수리비단2) 꽃이 피어 그 꽃 한쌍 끙꺼갖고 임의 방에 들어가서 임아 임아 정든 임아 꽃이 곱냐 내가 곱냐 니가 암만 곱다 해도 꽃과 같이 고울소냐 꽃 기리고 잘 살아라 나는 가고 영영 간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저 건네 빈 집이 누 집이란가 저 건네 빈 집이 누 집인가 청로3) 살다 나갔다네 기상 살다 나갔다네 문만 열어도 상내가4) 난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시가 울고 간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설성갈성5) 높은 봉에 절로 돋은 가령초야6) 물로 컸냐 절로 컸냐 안개 구름 잦은 고에7) 밤이슬 맞고 내가 컸네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1) 메메밭이 : 목화밭에. 2) 수리비단 : 비단의 일종. 여기서는 꽃의 아름다움을 비유하는 말. 3) 청로 → 청루(靑樓) : 기생의 집. 여기서는 기생을 말함. 4) 상내 → 향내 5) 설성갈성 : 어느 지명을 가리키는 듯 하나 알 수 없음. 6) 가령초 : 가련초. 실재하는 풀은 아니며 가련하다는 뜻으로 만들어진 풀이름. 7) 잦은 고에 : 잦은 골에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