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돌깨꼭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의 돌깨꼭지1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방매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방매 |
지역개관 | 흑산도에서 뱃길로 5시간이나 가야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 섬이다. 중국과 가까워 예전부터 폭풍이 칠 때는 중국어선들이 자주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가거도에는 대리, 대풍리, 항리 세 마을이 있는데, 170여 가구가 사는 대리가 가장 크다. 사람이 가히 살만한 섬이라는 가거도(可居島)는 기암괴석과 후박나무 숲으로 섬전체가 덮혀 있는 아름다운 섬이지만, 농토라고는 밭 조금밖에 없어 주로 바닷일과 약초캐기로 살아간다. <멸치잡이 소리>가 유명해 1988년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된 바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7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에서 채집한 돌깨꼭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문곤지, 문동녀가 참여하였다. 신안군 일대에서 발견되는 노래로 일과 관계없이 부르는 것이지만 이 마을에서도 가거도 뒷산에 많은 보리수나무 열매를 따면서 많이 불렀다고 한다. 노래 중간에 도리깨 꼭지가 돌아가는 소리를 따서 “후후훅지”라는 소리로 표현하는 것이 이 노래이 묘미이다. |
가사 | 노야 노야 진성노야 / 강진아 땅에 후후훅지 진성노야
장기 통통 뒤지 마라 / 꽃과나 가1) 후후훅지 너의 기집 실려간다 실려간다 / 미구나 배에2) 후후훅지 실려간다 돌깨 돌깨 에야 진돌깨는3) / 밥 잘해 무4) 후후훅지 일 잘한다 봄이 왔네 에야 봄이 왔네 / 삼천리 가5) 후후훅지 봄이 왔네 다 따내게 에야 다 따내게 / 이내나 볼깨6) 후후훅지 다 따내게 못 따겄네야 못 따것네 / 솜씨가 설어 후후훅지 못 따겠네 푸른 것은 이파귀요7) / 붉으난 것은 후후흑지 가실이라8) 1)꽃과나 가: 꽃과 같은. 이 곡의 처음 세 소절은 강진 사는 진성노라는 사람이 장기를 두다가 예쁜 아내를 (미국 배에?) 빼앗기고 말았다는 이야기가 배경에 깔려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2)미구나 배에: 미국 배에? 3)진돌깨: (사람 이름). 4)밥 잘해 무: 밥 잘해 먹고. 5)삼천리 가: 삼천리 강산. 6)볼깨: 큰보리장나무 열매. 가을에 꽃이 피고 봄에 열매가 연다. 가거도에 많이 난다. 7)이파귀: 이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