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가거도 산다이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의 가거도 산다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이득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이득 외 |
지역개관 | 흑산도에서 뱃길로 5시간이나 가야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 섬이다. 중국과 가까워 예전부터 폭풍이 칠 때는 중국어선들이 자주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가거도에는 대리, 대풍리, 항리 세 마을이 있는데, 170여 가구가 사는 대리가 가장 크다. 사람이 가히 살만한 섬이라는 가거도(可居島)는 기암괴석과 후박나무 숲으로 섬전체가 덮혀 있는 아름다운 섬이지만, 농토라고는 밭 조금밖에 없어 주로 바닷일과 약초캐기로 살아간다. <멸치잡이 소리>가 유명해 1988년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된 바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7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에서 채집한 가거도 산다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이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부녀자들이 방안에 모여 놀 때 부른 노래로, <가거도 산타령>이라고도 한다. 전남지역에 흔한 아리랑타령이나 산아지타령과 같은데, 후렴 없이 앞소리만 돌아가며 한 사람씩 부른다. 전형적인 육자배기토리이다. |
가사 | 우리가 여기를 왔다 기양 갈 수 있냐
노래나 한 재리 불고나 가자 고요한 저 달이 이내 창에 비쳐놓고 연연한 내 마음이 반섬만1) 된다 산 너메 고갯길도 실리길이 못 된데 나를 두고 가는 님은 한 걸임도 십리 가겟섬2) 무너져 평지나 되라 강물이나 몰라져서3) 육로나 되라 사랑을 맺었다가 또 한번 변하도 높으난 절벽 가 내가 떨어져 죽자 푸리난 저 물이 술이라고 허믄 오는 친구 가는 친구를 다 사과보겄네 물레야 자새야4) 어서 뱅뱅 돌아라 지석안에5) 섰는 남자 밤이슬 맞인더 굴섬 녹섬6) 씰어 덮은 악마같은 파도는 자라나는 어린애들 낙심만 된다 . 노랑저구리 섶호에7) 떨어진 내 눈물 너 탓이냐 내 탓이냐 중신애비 탓이다 산이나 높아야 골도나 깊제 지식없는 여자 속이 얼마나 깊으리 허루통8) 가늘고 동자집이9) 큰 애기 뒷동산 좁은 길로 나만 졸졸 따라라 백년을 살자고 기약한 그 사람 금년도 못 살고 이별이 들었네 목포라 목여중 내 부사져라10) 친구가고 나 못간데 무신 소용있냐 정든 님 상발을11) 어드득 잡고 쥑여라 살려라 너 처분 아니냐 가거도라 앞 강에 일중선이12) 정든 님 술잔에 잔 버끔13) 떴네 오는 새 가난 새 듬풀14) 속에서 놀고 임재없는 이내 몸은 어데로 갈지 모린다 세월은 흘러흘러 멫 천년을 또 흘러 임도나 변하야 세월따라서 히린더 1) 반섬 : 낙심. 2) 가겟섬 : 가거섬. 가거도. 3) 몰라져서 : 말라져서. 4) 물레야 자새야 : 물레자새는 물레에서 실이 감기는 얼레부분. 5) 지석 : 치마. 6) 굴섬 녹섬 : 가거도 대리 마을 동쪽에 굴섬, 서쪽에 녹섬이 있음. 7) 섶호 : 섶. 8) 허루통 : 허리통. 9) 동자집 : 부자집. 10) 내 부사져라 : 내가 심사가 난다는 뜻임. 11) 상발 : 상투. 12) 일중선(一重船) : 한 척의 큰 고기잡이 배. 13) 잔 버끔 : 잔 거품. 14) 듬풀 : 수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