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비자나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의 비자나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이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이득 |
지역개관 | 흑산도에서 뱃길로 5시간이나 가야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 섬이다. 중국과 가까워 예전부터 폭풍이 칠 때는 중국어선들이 자주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가거도에는 대리, 대풍리, 항리 세 마을이 있는데, 170여 가구가 사는 대리가 가장 크다. 사람이 가히 살만한 섬이라는 가거도(可居島)는 기암괴석과 후박나무 숲으로 섬전체가 덮혀 있는 아름다운 섬이지만, 농토라고는 밭 조금밖에 없어 주로 바닷일과 약초캐기로 살아간다. <멸치잡이 소리>가 유명해 1988년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된 바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7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에서 채집한 비자나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이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명절 날 강강술래 놀이의 한 꼭지로 부른다. |
가사 | 물팍1) 밑에다 골뮈 잃고서 골뮈 찾기가 난감하도다
비어리어리 비어리어리 비자나무야 비자나무야 비자 나무에 연이 걸려 앉네 똥개 목쟁이다2) 엄마 잃고서 엄마 찾기가 난감하도다 비어리어리 비어리어리 비자나무야 비자나무야 비자 나무에 연이 걸려 앉네 머리낭자에3) 바늘 잃고서 바늘 찾기가 난감하도다 비어리어리 비어리어리 비자나무야 비자나무야 비자 나무에 연이 걸려 앉네 삐비밭에다4) 신짝을 잃고 신짝 찾기가 난감하도다 비어리어리 비어리어리 비자나무야 비자나무야 비자 나무에 연이 걸려 앉네 1) 물팍 : 무릎팍. 2) 똥개 목쟁이 : 똥개는 가거도 부근의 섬이름이며 목쟁이는 꼭대기. 즉 똥개섬의 꼭대기. 3) 낭자 : 쪽. 4) 삐비 : 억새. 초가지붕을 엮는 데 쓰이며 봄에 부드러울 때는 먹기도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