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장장 짚세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의 장장 짚세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이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이득 |
지역개관 | 흑산도에서 뱃길로 5시간이나 가야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 섬이다. 중국과 가까워 예전부터 폭풍이 칠 때는 중국어선들이 자주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가거도에는 대리, 대풍리, 항리 세 마을이 있는데, 170여 가구가 사는 대리가 가장 크다. 사람이 가히 살만한 섬이라는 가거도(可居島)는 기암괴석과 후박나무 숲으로 섬전체가 덮혀 있는 아름다운 섬이지만, 농토라고는 밭 조금밖에 없어 주로 바닷일과 약초캐기로 살아간다. <멸치잡이 소리>가 유명해 1988년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된 바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7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대리에서 채집한 장장 짚세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이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명절날 강강술래 놀이의 한 꼭지로 부른다. |
가사 | 장장 짚세기
발도 벗고 좋아요1) 발딱 발딱 나막신 비올 적에도 좋아요 지주개 나까래 전빵2) 어찌 저리도 날란지3) 아라라라라 니리니리요 아리나 사라라라 허정 절씨구 산아지로고나 토시 토시 갱토시4) 한량의 토시도 갱토시 순순 감재순5) 아지게 자지게6) 감재순 갈매7) 저고리 흰 동전8) 앵캐9) 반딱 좋아요 아라라라라 니리니리요 아리나 사라라라 허정 절씨구 산아지로고나 1) 장장~좋아요 : 짚신을 삼아 신고 장장 밟아 평평하게 고르면 맨발로 신어도 편안하다는 뜻. 2) 지주개 나까래 진빵 : 풀쩍 건너는 모양을 나타낸 말이라고 하나 자세한 뜻은 모름. 3) 날란지 : 날랜지. 재빠른지. 4) 갱토시 : 토시는 겨울에 두 손을 모아 끼는 방한용구. 갱토시는 좋은 토시를 뜻함. 5) 감재순 : 감자의 순. 6) 아지게 자지게 : 길고 짧은 감자순이 한데 모여있는 모양을 표현한 말. 7) 갈매 : (검은 빛깔이 돌 만큼) 짙은 초록빛. 8) 동전 : 동정. 한복에서 저고리깃 위에 덧꾸미는 흰 헝겊. 9) 앵캐 : 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