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서울이라 임금 아들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자은면 송산리의 서울이라 임금 아들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090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신안군 |
생산지역 상세 | 자은면 송산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9 , 서울이라임금아들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전라남도 , 전남 , 신안군 , 1989 , 1993 , 서울이라 임금 아들 , 박정월 , 독창 , |
실연자 | 박정월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정월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송산리는 뒷산에 소나무가 많아 이름 붙였다는 마을. 나즈막한 산밑으로 밭과 논이 넓어 마을 사람들은 농삿일을 주로 한다. 가구수는 67호.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송산리에서 채집한 서울이라 임금 아들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정월이 참여하였다. 같은 유형의 사설이 쾌자노래라는 이름으로 전남 이외의 지역에서도 널리 나타난다. 쾌자, 이 노래에서는 배자라고 부른 옷은 양반계층을 상징하는 듯 하다. 사설속의 처녀의 말이 퍽 대담해서 혼외의 남녀관계를 다룬 이 사설이 지녔을 사회저거 의미가 궁금해진다. |
가사 | 서울이라 임금 아들
천 냥짜리 처녀 두고 만질 담을 뛰어넘다 미었구나1) 미었구나 곤때2) 묻은 양피배자3) 치닷푼이4) 무었구나 우리 본처 알고 보면 이 말 대답 어이하리 대장부라 사나그가 그 말 대답 몬 할손가 서당 앞에 석노남기5) 석노 따다 무었다소 그리해도 안 듣거든 서당 앞에 베자낭기6) 베자 따라 무었다소 그리 해도 안 듣걸랑 내일 아츰 조상 끝에7) 소녀 방에 또 들오면 오삭가지8) 당사실로 은침댄침9) 금바늘로 본살같이 감춰줌세 1)미었구나: 찢어졌구나. 미다는 찢어지다. 2)곤때: 고운 때. 조금 묻은 때. 3)양피배자(羊皮褙子): 양가죽으로 된 저고리 위에 덧입는 소매 없는 웃옷. 4)치 닷푼: 한치 다섯푼. 열푼이 한치. 5)석노남기: 석류나무. 6)배자남기: 비자나무. 7)조상: 아침상인 듯. 8)오삭가지: 오색가지. 9)은침댄침: 은침(銀針)은 은바늘. 댄침은 세침(細針)의 와음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