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흥글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신안군 흑산면 수리의 신세타령-흥글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복엽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복엽 |
지역개관 | 흑산도에서 동북쪽 바닷길로 6㎞ 떨어진 대둔도(大屯島)에 있는 80호 규모의 마을이다. 작은 돌섬이라 논이 전혀 없고 밭에서 배추, 마늘 등이 나는 정도이고, 대개가 바닷일에 종사한다. 주산물은 우럭 장어 돌미역 전복 등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일에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송산리에서 채집한 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상님이 참여하였다. 흥글소리는 혼자 있을 때 자신의 삶의 고난을 직설적으로 토로하는 노래이기는 하지만 이 노래는 직설의 정도가 심해서 함축적 어휘의 구사가 거의 없다. |
가사 | 어매 어매 우리 어매
뭣을 할라 나를 낳어 내 못할 일을 시기는가 남 난 시에 나도 났고 나난 시에 남도나 났건만 어이하여 이 지경인가 어딴 사람은 팔자가 좋아서 고대공실 높은 집이 책상 우게 책을 놓고 글공부를 다 하는데 요내 나는 하도 하도 할 일이 없어 이만한 종사를 나를 시겼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