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천군 소라면 현천리 중촌의 논매는소리-산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복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복개 |
지역개관 | 현천리 1구에는 중촌, 선천, 오룡마을이 모여 있으며 같은 들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이들의 전체 가구수인 126가구 중 중촌마을은 68호로 경주정씨가 30여호, 타성이 30여호를 이룬다. 예전부터 쌍둥이가 많이 태어나 쌍둥이 마을로 유명하다. 주요 농사작물은 쌀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5일에 전라남도 여천군 소라면 현천리 중촌에서 채집한 산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복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 공동작업집단인 대동패, 소동패가 있어서 함께 모여 일을 하면서 갖가지 노래를 불렀다. 산타령은 가장 많이 부르던 노래로, <늦은소리>, <중간소리>, <자진소리> 세가지가 있으나 여기에는 <늦은소리>와 <중간소리>만 수록하였다. <늦은소리>는 다른 지역에서도 많이 부르는 산아지타령이고, <중간소리>와 <잦은소리>는 개고리타령과 비슷하다. 위 세 곡은 빠르기에 따라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장단에 각각 맞는다. |
가사 | <늦은소리>
에헤 에헤허이 헤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저건네 갈미봉 비 묻어 온다 우장을 두르고 지심을 매세 에헤 에헤허이 헤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건곤이1) 불러 월장제허니2) 적막강산이 근 백년3) 이로구나 에헤 에헤허이 헤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일엽선아4) 돛 달어 둬라 만경창파로 선유를 가세 에헤 에헤허이 헤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오동추야 저 달은 볽고 임의 생각이 절로난다 에헤 에헤허이 헤야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고나 <잦은소리>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한일자로 늘어서서 입구자로 논을 매세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먼디 사람은 듣기 좋게 북장구 장단에 논을 매세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남문전5) 달 밝은데 순임군의6) 놀음이요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오동추야 달 밝은데 임의 생각이 절로 나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두벌매기가 다 되았으니 세벌매기로 넘어가세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어사부중에7) 잠들었다 울고 가는 가마귀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이 일 저 일 생각허니 속에 울화가 훨훨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일락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동정에 달 솟아온다 에야 디야 에헤야 에헤헹 어기야 1) 건곤(乾坤) : 천지. 2) 월장제 → 월정정(月淨淨) : 달이 썩 밝고 깨끗함. 3) 근백년(近百年). 4) 일엽선(一葉船) : 한 장의 잎처럼 작은 배. 5) 남문전 → 남훈전(南薰殿) : 순임금이 남풍가를 지어 부르던 궁전. 6) 순임군 → 순(舜) 임금. 7) 어사부중 : (뜻 모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