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천군 소라면 현천리 중촌의 논매는소리-방아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복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복개 |
지역개관 | 현천리 1구에는 중촌, 선천, 오룡마을이 모여 있으며 같은 들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이들의 전체 가구수인 126가구 중 중촌마을은 68호로 경주정씨가 30여호, 타성이 30여호를 이룬다. 예전부터 쌍둥이가 많이 태어나 쌍둥이 마을로 유명하다. 주요 농사작물은 쌀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5일에 전라남도 여천군 소라면 현천리 중촌에서 채집한 방아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복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10대 소년들의 마을 공공노동집단이었던 소동패가 즐겨 부르던 노래라고 한다. |
가사 | 에헤 에헤헤에헤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방애야 흥애야 돈바람에 떴나 우리같은 청년들은 오전짜리로 논다1)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일엽선아2) 돛 달아둬라 만경창파로 선유를 가세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네는 누구면 나는 누구냐 상선 땅에3) 조자룡이로고나4)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청천하늘에 잔별도 많고요 우리네 살림살이 걱정도 많네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남문을 열고서 바라를5) 치니 계명산천이6) 밝아온다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남산 봉학이7) 죽신을8) 물고 오동 숲속을 넘노난다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풍년이 왔구나 풍년이 왔네 삼천리 이 강산에 풍년이 왔네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노자 좋다 젊어서 노세 늙어서 병이 들면 못 노나니라 에헤 어헤헤에야 어럴럴 너러지고 방애흥애로고나 1) 우리같은~논다 : 공사판에서 일하는 삯꾼들의 하루품이 오전인 데서 나온 사설임. 2) 일엽선(一葉船) : 한 장의 잎처럼 작은 배. 3) 상선 → 상산(常山) : 중국 섬서성 상현 동쪽에 있는 산. 4) 조자룡(趙子龍) : 촉한의 장수로 상산에서 남. 5) 바라 : 파루(罷漏)의 변한 말. 파루는 도성안에서 야간 통행금지를 풀기 위해 새벽에 하는 신호. 6) 계명산천(鷄鳴山川) : 닭이 울어 날이 밝아 올 무렵의 산천. 7) 봉학 → 봉황(鳳凰) : 경사스러움을 상징하는 상상의 새. 8) 죽신 → 죽실(竹實) : 대나무 열매의 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