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술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기타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천군 삼산면 서도리의 줄꼬는소리-술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경용, 배효열, 박종삼, 박평수, 이상영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경용, 쇠/배효열, 북/박종삼, 장고/박평수, 징/이상영 |
지역개관 | 거문도의 일부분인 서도(西島)는 여수에서 배를 타고 4시간 넘게 걸리는 곳이다. 서도리는 옛날에 320여호가 거주하는 비교적 큰 마을로 파시(波市)가 서는 곳이기도 했으나, 지금은 153호로 줄었다. 예로부터 어업이 성해 특히 백도 근해에서 갈치와 멸치와 많이 잡았고, 영메이(영뫼동)바다와 목이섬, 마을 앞바다인 중등로바다에서는 문어를 잡았다. 이외에 광어 돔 우럭 따위를 양식하거나, 톳 미역 우뭇가사리 돌김 등을 채취하기도 하며, 얼마 안되는 농토에서는 마늘 고구마 유채 보리 등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6일에 전라남도 여천군 삼산면 서도리에서 채집한 술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경용, 배효열, 박종삼, 박평수, 이상영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에야라 술비야
에야라 술비야 어기영차 술비로세 에야라 술비야 술비소리를 잘 맞고 보면 에야라 술비야 팔십명 기생이 수청을 드네 에야라 술비야 술비여허 허어 허어 술비여어허루야 에헤헤루 술비여 에야디야차 술비야 놀다 가소 놀다 가소 에야라 술비야 소녀방에 놀다 가소 에야라 술비야 놀다 가면은 득실인가1) 에야라 술비야 잠을 자야 득실이지 에야라 술비야 술비여허 허어 허어 술비여어허루야 에헤에루 술비여 에야 술비야 에야디야차 술비야 백구야 훨훨 날지 마라 에야라 술비야 널 잡을 내 아니로다 에야라 술비야 성산이2) 바리시니 에야라 술비야 너를 좇아 여기 왔다 에야라 술비야 너를 좇아 여기 왔다 에야라 술비야 술비여허 허어 허어 술비여어허루야 에헤에루 술비여 에야 술비야 에야디야차 술비야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에야라 술비야 울릉도로 나는 간다 에야라 술비야 오도록만 기다리소 에야라 술비야 이 번 맞고 금채 노세3) 에야라 술비야 술비여허 허어허어 술비여어허루야 에헤에루 술비여 에헤야 술비야 에야디야차 술비야 에헤 술비 에헤 술비 골골마다 돈부4) 심어 에헤 술비 앉은 돈부 느는 돈부5) 에헤 술비 씨레졌다 새 돈부야6) 에헤 술비 돈부 앞에가 연해7) 올라 에헤 술비 연해 위에 단장8) 싸서 에헤 술비 단장 우에다 집을 짓고9) 에헤 술비 오손도손 살렸더니 에헤 술비 어여쁜 내 치리야10) 에헤 술비 임에 동동11) 실어간다 에헤 술비 어로사님12) 삭탈하고13) 에헤 술비 머리 깎고 송낙쓰고14) 에헤 술비 절에 올라 중 되러 가자 에헤 술비 이 산 저 산 다 비었소 에헤 술비 큰 산 어디 비리 봐라15) 에헤 술비 어영 비고 다층16) 비고 에헤 술비 이지 성형17) 곱게 키워 에헤 술비 서창18) 안에 물들어 오면 에헤 술비 낚시 챙겨 후려 들고 에헤 술비 낚어내자 낚어내자 에헤 술비 낭자 치재19) 낚어내자 에헤 술비 못 낚으면은 상사가20) 되고 에헤 술비 낚어내면 능사21) 에헤 술비 인여 상사 보로마지 에헤 술비 그 보가 풀려나도록22) 에헤 술비 너랑 나랑 살어보세 에헤 술비 에헤 술비 에헤 술비 충청도 충박석이는23) 에헤 술비 추절가지가24) 열리었고 에헤 술비 장흥 남산 강깍쟁이는25) 에헤 술비 아그장 아그장 달렸구나 에헤 술비 산아 산아 수양산아 에헤 술비 눈비 온다고 백두산이다 에헤 술비 임아 임아 서방님아 에헤 술비 요내 가슴을 만져주소 에헤 술비 동지섣달 긴긴 밤에 에헤 술비 핏기 없이 몰라진 이 몸은 에헤 술비 임 생각이 한정이로세26) 에헤 술비 에헤 술비 에헤 술비 에야라 술비야 에야라 술비야 술비여 에헤 술비여허루야 에헤에루 술비여 에야라 술비야 에야디야차 술비야 1) 득실(得實) : 자식을 얻음. 2) 성산 → 성상(聖上) :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3) 이번~노세 : 이번 맞고 금차(今次) 놓으세. 여기서 금차는 다음번이라는 뜻으로 쓰여서 일의 동작을 그만 마치자는 말임. 4) 돈부 : 콩과에 속하는 광저기의 여물은 열매를 말하며 동부라고도 함. 5) 앉은 돈부 느는 돈부 : 앉은 돈부 누웠는 돈부. 앉은 돈부는 살아있는 돈부, 누웠는 돈부는 쓰러진 돈부. 6) 씨레졌다 새 돈부야 : 쓰러진 돈부의 뿌리에서 다시 새 돈부가 나옴. 7) 연해 올라 : 꽃이 올라가서. 8) 연해 위에 단장(短墻)싸서 : 돈부꽃이 피면 바람에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나무가지를 엮어 밭 가를 낮게 둘러침. 9) 단장 우에다 집을 짓고 : (돈부밭의) 단장 주위에다 집을 짓고. 10) 치리 → 치레. 잘 매만져서 낸 모양. 11) 임에 동동 : 배가 떠가는 모습을 나타낸 말. 12) 어로사님 : 스님을 일컫는 듯. 13) 삭탈 : 삭발의 와전인 듯. 14) 송낙 : 여승이 쓰는 모자. 소나무겨우살이로 짚주저리 비슷하게 엮어 만듬. 15) 비리봐라 : 바라봐라라는 창자의 설명이 있으나 분명치 않음. 16) 어영비고 자층비고 : (뜻 모름). 17) 이지성형 : 가창자는 이씨의여자 자손이라고 함. 18) 서창 → 선창. 19) 낭자 치재 : 낭자(娘子) 처자(處子). 20) 상사(相思). 21) 능사(能事) : 능히 감당할 수 있는 일. 22) 인여상사~풀려나도록 : (뜻 모름). 23) 충박석이 : 충(청도) 복숭아. 24) 추절가지 : 열매가 많이 매달린 모습을 나타내는 주저리 주저리와 가지가 합쳐진 말의 와전인 듯. 25) 강깍쟁이 : 깍쟁이는 어떤 과실 이름의 와전인 듯. 26) 한정이로세 → 환장이로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