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이어르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천군 남면 심장리 심포의 아이어르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배매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배매님 |
지역개관 | 심포마을은 금호도에서 가장 큰 마을로 한때 167가구가 거주하는 부촌(富村)이었으나, 지금은 94호로 줄었다. 마을이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하여 깊은개라 부르다가 한자로 표기하면서 심포로 되었다. 마을 가운데에 얼마간의 농토가 있어 농사를 짓는 한편, 마을 서쪽에서는 고기잡이와 양식업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8일에 전라남도 여천군 남면 심장리 심포에서 채집한 아이어르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배매님이 참여하였다. 전남지역에서는 아이 어르는 소리의 사설이 다채롭게 나타나는 만큼 전승이 활발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 노래도 흔히 들을 수 없는 특이한 사설로 되어 있다. |
가사 | 둥둥둥 내 사랑아
어허 둥둥 내 사랑아 어디 갔다가 인자 왔냐 어허 둥둥 내 사랑아 순단네 콩밭에 콩 볶아 먹다가 오가리 단지1) 밑이 빠져 조반이 늦어서 인자 왔냐 어허 갔다가 인자 와 둥둥둥 내 사랑아 장판방에 구슬인가 엎었다 뒤핐다 내 사랑아 어허 둥둥 내 사랑아 장꼬방에는2) 봉학인가3) 챙이4) 끝에는 싸래긴가 단장5) 구녁에 쥐약인가 어허 둥둥 내 사랑아 어디 갔다가 인자 왔냐 이리 오랄 때 이리 오소 1) 오가리 단지 : 아가리가 오그라진 단지. 2) 장꼬방 : 장바구니. 3) 봉학 : 닭을 높여서 이른 말. 4) 챙이 : 키의 방언. 5) 단장(短墻) : 나지막한 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