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서도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평수, 정경용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평수, 정경용 |
지역개관 | 거문도의 일부분인 서도(西島)는 여수에서 배를 타고 4시간 넘게 걸리는 곳이다. 서도리는 옛날에 320여호가 거주하는 비교적 큰 마을로 파시(波市)가 서는 곳이기도 했으나, 지금은 153호로 줄었다. 예로부터 어업이 성해 특히 백도 근해에서 갈치와 멸치와 많이 잡았고, 영메이(영뫼동)바다와 목이섬, 마을 앞바다인 중등로바다에서는 문어를 잡았다. 이외에 광어 돔 우럭 따위를 양식하거나, 톳 미역 우뭇가사리 돌김 등을 채취하기도 하며, 얼마 안되는 농토에서는 마늘 고구마 유채 보리 등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6일에 전라남도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서도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평수, 정경용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상여소리에는 <발인소리>, 관을 상여 있는 곳까지 옮기며 부르는 <관음보살>, 상여를 메고 평지길을 부르는 <어너리 넘차>, 비탈진 길을 올라갈 때 부르는 <에야 디야>가 있다. 노젓는 소리 에야디야가 상여소리로 쓰이는 곳이 어촌답게 느껴진다. |
가사 | 에헤 에헤이야 관음보살
허 초경오 이무자 삼임오 사갑자 오경자 육병오 칠갑오 팔병오1) 구임자 십무오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걔해시에 가신 명인은2) 제십 오도천륜대왕3) 매였으니4) 귀관5) 판관6) 남무사향7) 서방정토 극락세계로 가옵소서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안님 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앞에는 얕찹고 관음보살 뒤에는 두터니 관음보살 앞에 사람은 관음보살 눈을 잘 뜨고 관음보살 뒤에 사람은 관음보살 키를 잘 잡어라8) 관음보살 관안님 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안님 보살 관음보살 허널 허널 얼가리 넘자 너화여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가네 가네 나는 가네 내 갈 곳으로 나는 가네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인지 가면은 언지나 오실라요 오실 날짜나 일러주오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가시난 날짜는 오늘인지 알건만은 오시난 날짜를 알려주오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이왕지사에 떠나는 몸인디 하직 인사나 드릴라네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운종용 풍종호라9) 용 가는데 구름 가고 달 가신 데는 바람이 가요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높고 높은 상상봉이 평지가 되거든 오실라요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어제 가시면은 언제나 오실라요 오마난 날이나 알려주오 허널 허널 어이가리 넘자 너화요 <에야디야> 에야 디야 에야 디야 어야 디여차 올라간다 에야 디야 낙양사 십리허에10) 에야 디야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에야 디야 영웅 호걸이 몇몇이면 에야 디야 우리도 아차 죽게 되면은 에야 디야 저그 저 무덤 묻힐소니 에야 디야 어야디야차 디여로구나 에야 디야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에야 디야 북만산천11) 나는 가네 에야 디야 자식 자식 내 자식들 에야 디야 설워 말고 슬퍼 마라 에야 디야 느그 눈에 눈물 나면 에야 디야 내 눈에서 피가 빳고12) 에야 디야 이왕지사 떠나는디 에야 디야 눈물 보고 못 가겄다 에야 디야 만나보자 만나보자 에야 디야 김서방네 만나보세 에야 디야 아무리 갈라 해도 에야 디야 차비 없어 못 가겄고 에야 디야 배가 고파 못 가겄다 에야 디야 1) 팔병오 : 팔병자(八丙子)의 잘못. 2) 명인 → 망인(亡人). 3) 오도천륜대왕 → 오도전륜대왕(吾道轉輪大王). 4) 초경오~매였으니 : 저승에서 망자를 재판한다고 하는 십대왕이 망자의 생년에 따라 각기 여섯 갑자씩 담당함. 그 중 열번째 오도전륜대왕은 무오 이하 열거된 여섯 갑자에 태어난 망인을 재판함. 5) 귀관(鬼關) : 저승으로 들어간다는 문. 6) 판관(判官) : 재판관. 7) 남무사향(南無-) : 남무는 나무의 원말이며 사향은 모름. 8) 키를 잘 잡어라 : 방향을 잘 잡어라. 9) 운종용풍종호(雲從龍風從虎) :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호랑이를 따름. 역경(易經)에 나오는 말로 성인(聖 人)이 일어나니 만물이 우러른다는 뜻으로 풀이되어 있음. 시가에서는 흔히 마음과 뜻이 맞는 사람끼리 서로 구하고 좇다는 뜻으로 쓰임. 10) 낙양사 십리허 → 낙양성 십리허(十里許) : 낙양성에서 십리쯤 되는 곳에. 11) 북만산천 → 북망산천(北邙山川) : 묘지가 있는 곳.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을 이르는 말. 12) 빳고 : 빠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