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서도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평수, 정경용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평수, 정경용 |
지역개관 | 거문도의 일부분인 서도(西島)는 여수에서 배를 타고 4시간 넘게 걸리는 곳이다. 서도리는 옛날에 320여호가 거주하는 비교적 큰 마을로 파시(波市)가 서는 곳이기도 했으나, 지금은 153호로 줄었다. 예로부터 어업이 성해 특히 백도 근해에서 갈치와 멸치와 많이 잡았고, 영메이(영뫼동)바다와 목이섬, 마을 앞바다인 중등로바다에서는 문어를 잡았다. 이외에 광어 돔 우럭 따위를 양식하거나, 톳 미역 우뭇가사리 돌김 등을 채취하기도 하며, 얼마 안되는 농토에서는 마늘 고구마 유채 보리 등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6일에 전라남도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서도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평수, 정경용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전남지역의 무덤 다지는 소리는 중부지방에 비해 많지 않다. 어로요로 숙달된 어촌답게 북장단에 맞춰 경쾌하게 달구소리를 부른다. |
가사 | 에헤 달구
에헤 달구 얼그덕 절그덕 잘도 찍는다 에헤 달구 이 달구가 누 달구느냐 에헤 달구 강태공의 조작이로다 에헤 달구 얼그덩 절그덩 잘도 찍는다 에헤 달구 어야 디여차 달구로다 에헤 달구 달구방아를 찍을 적에는 에헤 달구 여기 저기 니 귀1) 를 밟아서 에헤 달구 많이 찧어서 찍어보세 에헤 달구 알구닥 떵떵 잘도 찍는다 에헤 달구 어야 디여 달구로구나 에헤 달구 달구방아 잘 찍으면 에헤 달구 달구 다리2) 나온단다 에헤 달구 앞발은3) 높이 들고 에헤 달구 뒷꼭지로 꽁꽁 찍어 에헤 달구 달구방아 찍어보세 에헤 달구 1) 니 귀를 : 네 귀를. 2) 달구다리 : 닭다리. 여기서는 닭고기를 대접받는다는 말. 3) 앞발은 : 발의 앞 부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