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액맥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서도리의 액맥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성종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성종 |
지역개관 | 거문도의 일부분인 서도(西島)는 여수에서 배를 타고 4시간 넘게 걸리는 곳이다. 서도리는 옛날에 320여호가 거주하는 비교적 큰 마을로 파시(波市)가 서는 곳이기도 했으나, 지금은 153호로 줄었다. 예로부터 어업이 성해 특히 백도 근해에서 갈치와 멸치와 많이 잡았고, 영메이(영뫼동)바다와 목이섬, 마을 앞바다인 중등로바다에서는 문어를 잡았다. 이외에 광어 돔 우럭 따위를 양식하거나, 톳 미역 우뭇가사리 돌김 등을 채취하기도 하며, 얼마 안되는 농토에서는 마늘 고구마 유채 보리 등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6일에 전라남도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서도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평수, 정경용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초에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마당밟기(지신밟기)를 할 때 하는 노래이다. 집안에 드는 액을 막는다고 해서 액맥이타령이라한다. 노랫말이 확실치 않아서 아쉬우나 전남지역에서 좀처럼 찾기 어려운 노래이다. |
가사 | “매구야1) ” “어 -이 ” “서천국2) 사파세계3) 해동조선 전라좌도군은 여천군 면은 삼산면 아닌가는 .
서도리 안중도 아니요 가문은 실승이 날생 가문인디4), 이터 명당 부귀공명 물론이요 자손발복도 물론이요 소원성취하시고, 일년 열두달이면 삼백 육십 오일 과년이면5), 예 쪼끔 더 됩니다 . 그러나, 이 터 명당 부귀공명 물론인디, 악살회살6) 모진 놈의 관재구설은 물알로 일시 소멸하고, 잡귀잡신은 내가 딸딸 몰아서 어따 옇으냐 그라믄, 아마 일본 오끼나와에다 옇어야 되겄소, 여 버리고 여기서 잠깐 액을 막는디 .” 어루 액이야 어루 액이야 어러 중천7) 액이로구나 동에는 청제장군 장박게8) 황한량9) 적갑을 쓰고 적갑을 입고 적갑 화살을 다 막어낸다 공중에서 떨어졌느냐 요방구10) 살 막고 예방을 허리요 어루 액이야 어루 액이야 어루 중천 액이로구나 남에는 적제장군 적박게 황한량 서갑을 쓰로 서갑을 입고 서갑 화살을 다 막어낸다 공중에서 떨어졌느냐 요방구 살 막고 예방을 허리요 어루 액이야 어루 액이야 어루 중천 액이로구나 서에는 백제장군 장박게 백한량 서갑을 쓰고 서갑을 입고 서갑 화살을 다 막어낸다 공중에서 떨어졌느냐 요방구 살 막고 예방을 허리요 어루 액이야 어루 액이야 어루 중천 액이로구나 북에는 흑제장군 장박게 흑한량 서갑을 쓰고 서갑을 입고 서갑 화살을 다 막어낸다 공중에서 떨어졌느냐 요방구 살 막고 예방을 허리요 어루 액이야 어루 액이야 어루 중천 액이로구나 중에는 황제장군 황박게 황한량 서갑을 쓰고 서갑을 입고 서갑 화살을 다 막어낸다 공중에서 떨어졌느냐 요방구 살 막고 예방을 허리요 어루 액이야 어루 액이야 어루 중천 액이로구나 1) 매구 : 꽹과리, 또는 풍물, 여기서는 풍물패를 부르는 말. 2) 서천국(西天國) : 지난 날에 인도를 이르는 말. 3) 사파세계 → 사바세계(娑婆世界) : 인간세계. 4) 실승이 날생 : (뜻모름). 5) 과년(顆年) : 윤년. 6) 악살희살 : 액살훼살(厄煞毁煞)인 듯. 훼살은 남의 일을 훼방한다는 뜻의 훼사(毁事)의 변한 말. 7) 중천(中天) : 하늘의 한복판. 8) 장박게 : 액을 막아내는 장군의 복색을 묘사하는 듯. 다른 지역의 액맥이 타령에서는 동서남북에 각각 색깔을 붙여 청마적에 청화장처럼 부르기도 함. 9) 황한량 : 방위와 관련된 색깔을 앞에 붙여 부르는 것으로 보아 청한량이 되어야 함. 한량은 옷소매를 가리키는 화장의 와전인 듯. 10) 요방구 → 오방기(五方祺) : 진중에서 다섯 방위를 나타내는 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