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광군 군남면 도장리 장고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동성, 정병동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동성, 정병동 |
지역개관 | 장고마을은 동쪽으로 불갑저수지로부터 염산면에 이르는 수로(水路)가 나있어 농업 용수가 풍부한 곳이다. 옛날에는 100여호가 넘는 비교적 큰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60옇로 줄었다. 마을 앞의 서당너메들, 구룡들(구룡굴), 내건네(일명 순룡들), 안들(동간리들) 등에서 농사를 지어 왔다. 정월 대보름이면 요즈음도 온 동네 사람들이 모여 줄다리기를 하고 풍물을 걸게 치며 노는 민속의 고향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13일에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도장리 장고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동성, 정병동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는 공동노동으로 김을 매는 관행인 상두가 있었다. 상두는 비교적 일이 수월한 만드리 때 내곤 했는데, 이때는 덕석기와 영기를 앞세우고 깽쇠, 북, 장고, 소고, 징, 나발 등의 악기를 연주하면서 일련의 <풍장소리>를 불렀다. <풍장소리>는 <만드리손가>, <뜰모리>, <도돌이굿>, <오늘도 허이>등의 다양한 노래로 구성된다. |
가사 | 이리 아호에 어허
<만드리 손가> 사랑 사랑 내 모든 사랑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잘도 허네 다 잘도 허네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우리네 계원들 다 잘도 허네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소년행락이1) 다 지거든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화류강산2) 하오지러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인호상이 자작헌3) 뒤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굽은 솔 웃지마소 바람불어 굽었네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풍표표 설분분은4) 그 솔을 부려5)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늙은 년이를6) 웃지를 말소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백발 보고서 웃지를 마소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사랑 사랑 내 모든 사랑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청산리 벽계수 아니 노지는 못하고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수이 가면 다시 오기가 어렵네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우리네 동포들 싸게 싸게 해주소 에헤헤로 만드리손가 <어루리 더루리> 간다네 가고서 내가 돌아가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일락의 서산에 해는 떨어지고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나가나 그리를 니가 그리를 마소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골목에 골목에 연기만 나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십오야 밝은 달 구름 속에서 놀고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이십안 큰아기 내아 품에 노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우리네 계원들 잘도나 맞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아무리 해여도 니가 그리를 마소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저 달은 밝아서 우리네 비치고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오늘날 이렇게 즐거지게만 노세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그렇게 저렇게 즐거지게만 노세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어너리 더너리 어랑탕탕 더너리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잘도나 맞네요 다 잘도 맞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우리야 계원들 다 잘도 맞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일락의 서산에 해는 떨어지고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월출동정에 달만 솟아오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바람아 강풍아 니가 부지를 마라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우리네 낭군이 명태잡이를 갔다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니가나 그리를 니가 그리를 마소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그리를 말어라 너 그리를 마라 어루리 더루리 어랑탕탕 받어라 이리 아호에 허 <오늘도 허이> 오늘도 허이 내일도 허이 올해도 허이 우리네들 허이 계원들 허이 다 잘도 허네 허이 오늘날은 허이 여그서 매고 허이 내일날은 허이 저 너메로 가세 허이 간다 간다 허이 내가 가네 허이 건너편으로 허이 하늘 천자 허이 따 지자 허이 검을 현자 허이 누를 황자 허이 집우 자 허이 집 주자로 허이 넓을 홍자 허이 거칠 황자 허이 날 일자로 허이 달 월자에 허이 하늘 천자 허이 베풀 장이라 허이 어이 허이 1) 소년행락(少年行樂) : 젊은 시절의 즐거움을 즐김. 2) 화류강산 → 화유강산(花遊江山). 3) 인호상이자작(引壺觴而自酌) : 술단지와 술잔을 끌어당겨 스스로 따라 마심. 4) 풍표표설분분(風飄飄雪紛紛) : 바람이 불고 눈이 흩날림. 5) 부려 : 부러워해. 6) 늙은 년(-年) : 늙은 나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