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군사놀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광군 낙월면 송이도의 군사놀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순덕, 장순이, 문금희, 장장김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윤순덕, 장순이, 나/문금희, 장장김 |
지역개관 | 송이도는 법성포에서 서쪽으로 약 두시간 거리에 있는 섬으로 대촌, 신촌, 소촌 등의 3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송이도에는 왕산봉과 막재봉을 비롯한 크고 작은 많은 산봉우리가 있어 “아흔아홉골”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마을은 섬의 정남쪽에 바다를 앞두고 자리잡고 있는데, 53호 가운데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15호 정도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17일에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송이도에서 채집한 군사놀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순덕, 장순이, 문금희, 장장김이 참여하였다. 마당에서 처녀들이 두 패로 나누어 놀면서 하는 노래이다. 강강술래에 이어 나오는 대문열기나 안동 등지의 놋다리밟기와 사설 전개가 비슷하다. |
가사 | 가 : 어디 군산가
나 : 정상도1) 군사네 가 : 몇 명이나 와겼는가 나 : 서른 두명 와겼네 가 : 뭔 신을 신었는가 나 : 까짓대 깟신을2) 신었네 가 : 뭔 입성을3) 입었는가나 나 : 비단 입성을 입었네 가 : 뭔 망건 썼는가 나 : 임오망건4) 썼네 가 : 뭔 갓을 썼는가 나 : 통영갓을 쌌네 가, 나 : 제적일레5) 사모관대가 제적일레 결쾌장 걸쾌장6) 유문갑사7) 걸쾌장 1) 정상도 : 경상도. 2) 까짓대 깟신 : 가죽신. 3) 입성 : 옷. 4) 임오망건 → 인모(人毛)망건 :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망건. 5) 제적일레 : 제격일레. 6) 걸쾌장 → 걸쾌자 : 쾌자는 등솔을 길게 째고 소매없이 만든 옷. 걸쾌자는 쾌자를 이르는 듯하며 특별히 분화된 의미는 확인되지 않음. 7) 유문갑사(有紋甲紗) : 무늬가 있는 얇은 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