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당애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광군 낙월면 송이도의 둥당애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순덕, 장순이, 문금희, 장장김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윤순덕, 나/ 장순이, 다/문금희, 라/장장김 |
지역개관 | 송이도는 법성포에서 서쪽으로 약 두시간 거리에 있는 섬으로 대촌, 신촌, 소촌 등의 3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송이도에는 왕산봉과 막재봉을 비롯한 크고 작은 많은 산봉우리가 있어 “아흔아홉골”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마을은 섬의 정남쪽에 바다를 앞두고 자리잡고 있는데, 53호 가운데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15호 정도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17일에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송이도에서 채집한 둥당애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순덕, 장순이, 문금희, 장장김이 참여하였다. 둥당애타령은 지역에 따라 변화가 심하지 않은 노래이지만 뒷소리의 형식에서는 약간의 변화가 보이기도 한다. 이곳의 둥당애타령은 뒷소리를 당애둥당애 둥당애당으로 보통 뒷소리의 뒷부분만 반복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
가사 | 가 : 둥당애더 둥당애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둥당애 둥당애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녹두야 채로 채로 돌로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도랏채도1) 채로 돌고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조그만헌 이내 나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남의야 정지 채로 돈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나 : 바늘같은 요내 몸에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행수야2) 같은 병이 나서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임 오시라 편지했더이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임은 전히3) 아니오고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약만 한 첩 지어왔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임기 기려 난 병인데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그 약을 먹고 낫을손가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약탄 석탄 걸어놓고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요내 몸이 가기되면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앞산에도 묻지말고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뒷산에도 묻지말고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임 오는 길이다 묻어주면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얼그렁 소리 들을라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얼그렁 덜그렁 하는 소리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말굽소리나 들을라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다 : 삼대독자 외아들은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병이 들을까 수심이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우리 동네 부잣집은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도둑이 들을까 수심이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라 : 새야 새야 파랑새야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너 뭣하러 나왔느냐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댓잎 솔잎 포릇포릇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하전인갬이4) 나왔더니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백설이 펄펄 동지섣달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선한풍이5) 되었구나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가: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갱에6) 갔네 갱에 갔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시누성님 갱에 갔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시누성님 갱에 가서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물이 잠방 들었구나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울오랍씨 나오시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즈그 각시 업어가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벼리면7) 남이로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성지간은8) 한번 가면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두 번 다시는 못 보는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무정허네 무정허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울오랍씨 무정허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떠나가네 떠나가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옹당김이9) 떠나가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감태같은10) 이내 머리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탱자나무 다 갱기고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분질같은11) 이내 삭신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고기밥이 되아간다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당애 둥당애 둥당애 더 1) 도랏 : 도라지. 2) 행수(行首) : 여러 사람 가운데 우두머리. 또는 원수의 와전인 듯. 3) 전히 : 전혀. 4) 하전인갬이 : 하절(夏節)인가 하고. 5) 선한풍 → 설한풍(雪寒風) : 눈바람. 6) 갱 → 강 : 여기서는 개, 즉 강이나 내에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을 말함. 7) 벼리면 : (각시는) 버리면. 8) 성지간 : 형제간. 9) 옹당김 : 여자 이름. 10) 감태(甘苔) : 김. 11) 분질 : 분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