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새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광군 군남면 도장리 장고의 새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말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말순 |
지역개관 | 장고마을은 동쪽으로 불갑저수지로부터 염산면에 이르는 수로(水路)가 나있어 농업 용수가 풍부한 곳이다. 옛날에는 100여호가 넘는 비교적 큰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60옇로 줄었다. 마을 앞의 서당너메들, 구룡들(구룡굴), 내건네(일명 순룡들), 안들(동간리들) 등에서 농사를 지어 왔다. 정월 대보름이면 요즈음도 온 동네 사람들이 모여 줄다리기를 하고 풍물을 걸게 치며 노는 민속의 고향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13일에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도장리 장고에서 채집한 새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말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열너덧살 무렵 오빠에게 배워서 놀 때 불렀다는 가창자의 말로 미루어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의 일종으로 짐작된다. 이 사설외에 우리와 익숙한 다른 새들에 대한 사설도 더 있었을 법하다. 새들의 모습과 소리 등의 특징에서 인간사를 연상하는 상상력이 흥미롭다. |
가사 | 지비1) 새끼는
지 몸이 곱다고 쟁인놈2) 새끼로 잴맸냐3) 잴맷 이기리길 기기리길 콩콩 찧는다 전지공4) 가마구 새끼는 지몸이 껌다고 청국놈 새끼로 잴맸냐 잴맷 이기리길 기기리길 콩콩 찧는다 전지공 삐둘기 새끼는 구 소리 잘 한다고 홀엄씨 방으로 잴맸냐 잴맷5) 이기리길 기기리길 콩콩 찧는다 전지공 1) 지비 : 제비. 2) 쟁인놈 : 당골무를 낮추어 부르는 말. 3) 잴맸냐 : 잡아맸냐. 잴매다, 쨈매다는 두 가지를 짝지워 준다는 뜻으로 흔히 쓰임. 4) 전지공 : 절굿공이. 5) 삐둘기~잴맷 : 비둘기의 구구하는 소리를 과부가 혼자 중얼중얼하는 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