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순천 댐양 왕대를 비어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광군 군남면 도장리 장고의 시집살이노래-순천 댐양 왕대를 비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213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영광군 |
생산지역 상세 | 군남면 도장리 장고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1 , 시집살이노래 , 순천댐양왕대를비어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전라남도 , 전남 , 영광군 , 1990 , 1993 , 순천 댐양 왕대를 비어 , 한양임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한양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한양임 |
지역개관 | 장고마을은 동쪽으로 불갑저수지로부터 염산면에 이르는 수로(水路)가 나있어 농업 용수가 풍부한 곳이다. 옛날에는 100여호가 넘는 비교적 큰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60옇로 줄었다. 마을 앞의 서당너메들, 구룡들(구룡굴), 내건네(일명 순룡들), 안들(동간리들) 등에서 농사를 지어 왔다. 정월 대보름이면 요즈음도 온 동네 사람들이 모여 줄다리기를 하고 풍물을 걸게 치며 노는 민속의 고향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13일에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도장리 장고에서 채집한 순천 댐양 왕대를 비어 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한양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시집살이의 고난과 외로움을 친정식구에게 호소하고 싶은 새댁의 마음속에 그 소식을 기꺼워 할 올캐에 대한 생각이 끼어든다. 가부장제속이 여성의 고난이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구조적인 것임에 대한 민요 전승층의 성숙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
가사 | 순천댐양1) 왕대를 비어
어깨동동2) 상지를3) 지어 한심으로 밑을 앉켜 눈물로는 봉지를4) 지어 친정으로 보내면은 우리 아부지 받으시면 금과 옥과5) 내아 딸아 이 소리가 웬 소리냐 삼간만리6) 뚜드림서 대성통곡을 허시리라 울어머니 받어보면 금과 옥과 내아 딸아 이 소리가 웬 소리냐 이간말리7) 뚜드림서 대성통곡을 허시리라 우리 오라버니 들으시면 보든 책상 개쳐놓고 금과 옥과 내 동생아 이 소리가 웬 소리냐 말안장을 둘러타고 나한테를 오시리라 우리 성님 들으시면 간장에다가 처널 년아 된장에다 박을 년아 홍두깨로 밀을 년아 방망치로 뚜들 년아 너도 간께 그러디야 나도 온께 그러드라 사랑부리8) 조리걸고 조리춤을 추끄나 함박춤을 추끄나 1) 댐양 → 담양. 2) 어깨동동 : (뜻 모르). 3) 상지 : 쌈지. 4) 봉지 : 뚜껑. 5) 금과옥과 : 금과(같고) 옥과(같은). 또는 금지옥엽(金枝玉葉)의 와전. 6) 삼간말리 : 삼간(三間) 마루. 7) 이간말리 : 이간(二間) 마루. 8) 사랑부리 : 실강, 선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