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암군 서호면 태백리 백운동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영석, 이석만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쇠/허영석, 북/이석만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태백리 백운동은 은적산 기슭에 있는 농촌으로 벼농사가 주업. 500년 전에 마을에 처음 들어온 경주 이씨 시조의 호가 백운이었다. 대대로 내려오던 당제는 끊어졌으나 명절 때마다 풍물은 친다. 여름 복중에 하루를 정해 젊은 이들이 노인들에게 경로잔치를 베푼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1일에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태백리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영석, 이석만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심는 소리에는 <긴소리>와 <잦은소리>가 있다. 넓은 논의 모를 심을 때는 꽹과리와 북으로 반주를 하곤 했는데, 꽹과리 치는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고 북 치는 사람이 소리에 맞춰 양손으로 북을 친다. 여기에는 <잦은소리>만 수록하였다. |
가사 | 에헤 에에여루 상사뒤요
에에에에여루 상사뒤요 잦은 가락으로 숨어를 보세 에에에에여루 상사뒤요 여기도 숨구고 저기도 숨어서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방고르게1) 숨어를 보세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떴다 보아라 저 비형개야2)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얼른 빨리 숨거서 밥을 묵자구나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잘도 헌다 잘도나 허네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우리 농군들 다 잘도 헌다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어떻게 하여 이 농사가 잘 되아서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부귀 부귀로 잘 살꺼나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에헤 에에 에루 상사뒤요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청사 초롱에 불 밝혀들고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잊었든 낭군을 새로 다시 보세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니가 잘나서 천하 일색인가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내 눈이 어두워 환장이 들겄네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그믐달이 반달이라든가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초승달도 반달이지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떴다 보아라 모폭이 떴네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손꾸락이 꾸부러지도록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손에 심을 줘서 쿠쿨 숨그세 에에 에에여루 상사뒤요 1) 방고르게 : 빠짐없이. 2) 비형개 : 비행기. |